만성 고관절 부상 청소년 선수의 하지정렬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만성 고관절 내전근 부상 청소년 선수의 하지정렬과 운동기능
Unuvar, E., Guney-Deniz, H., Akinoglu, B., Kocahan, T., & Nyland, J. (2022). Frontal plane lower extremity alignment in adolescent athletes with chronic hip adductor-related groin injury symptoms: A case-control study. /Physical therapy in sport :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Chartered Physiotherapists in Sports Medicine/, /57/, 53–60.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16/j.ptsp.2022.07.008 |
|
|
Methods
- 고관절 내전근 손상이 있는 청소년 선수 26명을 부상군에, 동일수의 비교군과 비교하여 싱글 레그 스쿼트(SLS) 시 몸통과 하지의 정렬(아래 사진, 출처는 원문), 고관절 등척성 근력(아래 사진, 출처는 원문), HAGOS 검사* 점수를 분석했다.
- HAGOS 검사*
The Copenhagen hip and groin outcome score 로 증상, 통증, 일상생활 기능, 스포츠 및 여가활동, 신체활동 참여, 고관절과 서혜부와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여 점수화하는 검사이다.
|
|
|
Conclusions
- 고관절 내전근 부상이 있는 청소년 선수는 SLS를 수행하는 동안 부상 측 엉덩이와 양측 무릎 FPPA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들은 통증, 증상, 일상 생활 활동, 기능,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신체 활동 및 삶의 질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인지된 고관절 기능도 더 낮았다.
- 또한, 만성 고관절 내전근 손상이 있는 청소년 운동선수는 손상 측 하지에서 고관절 외전근, 내전근, 외회전근 및 내회전근력도 낮게 나타났다.
|
|
|
Take field message
- 고관절 내전근 부상은 내전근력의 약화를 초래하고 싱글 레그 스쿼트 시 무릎 외반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싱글 레그 스쿼트 시 하지 정렬 상태는 무릎의 비접촉성 부상위험과 관련이 있다.
- 고관절 내전근력과 SLS 시 하지 정렬상태는 고관절 내전근 운동기능과 재활 후 복귀를 결정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