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감염위험 최소화를 위한 스포츠팀 전략
McElheny, K. D., Little, D., Taylor, D., & Manzi, J. E. (2022). Communicable Illness Mitigation Strategies for Traveling Elite Sporting Organizations. /Sports health/, /14/(4), 532–537. https://doi.org/10.1177/19417381211032226
Introduction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상황에서 위생교육의 중요성은 스포츠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시합이나 전지훈련으로 장거리 이동과 단체생활 상황에서 질병 예방 및 억제를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은 무엇일까?
보고에 의하면 엘리트 선수가 부상이 아닌 질병으로 불참하는 경우가 12%에서 5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과 2018년에 개최된 2번의 올림픽에서 미국팀은 1,000명당 약 200명의 질병 발병률이 있었고 이로 인해 30%의 시간 손실을 초래했다. 2011년부터 2016년 메이저 리그의 조사에서도 결장 시간의 14.7%가 질병으로 발생했다.
최근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 전염성 우려로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부상은 개별 운동 선수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전염성 질환은 팀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직계 가족 및 기타 긴밀한 접촉자에 대한 2차 위험도 주의해야 한다.
엘리트 선수에게 전염성 질병의 상당한 악영향을 고려하여 이 논문은 엘리트 스포츠 조직의 위생 활동 및 여행 고려 사항, 적절한 예방 전략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시설과 장비
경기 및 훈련 시설은 본질적으로 공동 식사, 개인 위생, 레크리에이션/회의 공간 및 공유 장비 사용과 함께 비교적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밖에 없다.
수시로 손 닦기(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손을 씻거나 알코올 함량이 60% 이상인 손 소독제 사용 포함)
적절한 기침/재채기(티슈나 팔꿈치로 입 가리기)
손 소독제 비치(주방, 웨이트 룸, 훈련실, 화장실 및 기타 공용 시설)
마스크 착용(공기 중 및 비말 전염성 감염의 위험을 줄이며 시설 내 확산 방지)
식탁, 책상, 가구, 버스 좌석 등 선수의 손이 닿은 물체의 표면 정기적 청소(최소 하루에 한 번, 소독약 사용 후 최소 1분에서 최대 2~3분의 건조 시간)
공용 장비는 소독 후 45분의 통풍 건조 권장
인구 밀도는 비말 및 접촉 전파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병의 강력한 위험 요소이다. 가능한 많은 인원이 모이는 미팅은 환기가 잘되고 거리두기가 가능한 공간으로 한정한다.
사물함이나 락커룸은 반드시 개별 사용해야(특히 아마추어팀) 감염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같은 포지션의 선수(골키퍼, 투수 등 경기 시 같은 역할을 하는 선수)는 서로 떨어져 있게 한다. 모두 감염될 경우 대신할 선수가 없기 때문이다.
뷔페식 식사보다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식사가 안전하다.
조기 식별, 효율적인 격리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일상적인 증상 선별 및 체온을 확인한다. 열이나 증상이 있는 선수와 스탭은 즉시 격리하고 선수단과 함께 해서는 안된다.
여행
여행은 질병위험을 높인다. 5시간 이상의 시차가 있는 외국으로 해외 여행 후 귀국하면 질병 감염률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밀폐된 공간 이용 시 수시로 환기하고 다른 개인과의 접촉과 병원균 전파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가능한 한 비행기/버스 여행 중 식사를 피하고 가급적 여행 전후에 식사한다.
비행기 여행
비행기의 환기장치는 다른 대체 운송 수단보다 우수하지만, 항공 여행은 전염성 질병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개인과의 긴밀한 접촉 시간이 길 수 있기 때문에 감염위험이 높다.
한 연구에서 감염된 승객의 2열 내에 앉은 승객의 감염률이 그 이상 떨어져 앉은 승객보다 높았다. 특히 8시간 이상 장거리 비행은 더 위험하다.
환기 측면에서 가장 위험한 시간은 활주 중 환기장치가 잠시 꺼져 있을 때이다.
기침과 재채기를 하는 승객을 피하고 필요한 경우 티슈나 팔꿈치에 대고 기침한다.
비행 중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하단 그림 참조(비행기 좌석과 감염위험)
버스 여행
버스 역시 전염병 확산의 고위험 환경이다. 2020년 1월, 최근 중국 우한에 다녀온 무증상 여성이 다른 승객 66명과 함께 50분간 탑승했다. 이 버스 승객 중 24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영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남성 버스 운전사는 100,000명당 26.4명으로 일반 남성 9.9명보다 훨씬 사망률이 높게 조사되었다.
환기를 위해 창문은 날씨가 허락하는 한 열려 있어야 한다.
현재로서 자료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버스 뒤쪽으로 기류가 이동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앞좌석이 더 안전할 수 있다.
Conclusions
현재의 COVID-19 대유행 외에도 질병은 계속해서 선수와 팀에 부담을 줄 것이다.
감염위험을 최소화하고 선수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일련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한 절차이다.
평소 철저한 개인 위생 습관, 공용 구역 및 소독 철저, 공유 구역에 대한 지능형 설계, 여행 및 호텔 고려 사항, 적절한 검사 도구 및 격리 지침을 통해 팀의 감염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월간스포츠의과학 4분기 프로그램 안내⛹
매월 분야별 국내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스포츠의과학 강의를 실시간 온라인 라이브 강의와 녹화된 영상 다시보기로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기기"로 다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매월 1회 줌(zoom) 이용한 원격 화상강의 👉바빠서 웨비나를 놓쳐도 1개월간 무제한 스트리밍 👉강의자료 파일 제공
📕10월호(6일 저녁6시~9시) -Rehab for Ankle Instability_박지환 팀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Syndesmosis Injury_서상교 원장 / SNU 서울병원 -Jump Training Science_강성우 대표 / 3PS 퍼포먼스 랩)
📕11월호(3일 저녁 6시 30분~9시 30분) -SLAP 보존적 치료 vs 수술적 치료_금정섭 원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척추 보존적 치료의 대상과 고려사항_최인재 원장 / SNU 서울병원 -부상선수 멘탈 케어_강준모 원장 / 송파 드림 정신의학과
📕12월호(1일 저녁 6시~9시) -고관절 손상과 치료_한도환 원장 / SNU 서울병원 -무릎부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_조승익 실장 / 건국대학교 병원 -휘트니스 시합 준비를 위한 고려사항_김현중 실장 / 비식스 휘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