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소년 선수들에서 다양한 운동기능검사(FMS, SEBT, Balance, Fitness test) 비교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유소년 선수의 다양한 운동기능검사(FMS, SEBT, Balance, Fitness test) 비교
Chang, W. D., Chou, L. W., Chang, N. J., & Chen, S. (2020). Comparison of Functional Movement Screen,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Physical Fitness in Junior Athletes with Different Sports Injury Risk.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20/, 8690540. https://doi.org/10.1155/2020/8690540 |
|
|
Introduction
-
그러나 이 검사들 간에 잠재적인 관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스포츠 손상 위험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의 FMS, SEBT, 민첩성 T test및 수직 점프 검사 결과 차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
이 연구는 유소년 선수를 대상으로 FMS, SEBT, 민첨성 및 수직 점프 검사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스포츠 손상 위험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에서 평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
|
|
Methods
-
모든 참가자는 학교 스포츠 팀의 일상적인 훈련 수행(주2회, 체력훈련, 주3회 기술훈련).
-
FMS, SEBT, 민첩성 및 수직 점프의 총 4개의 검사를 동적 스트레칭으로 준비운동을 한 후 시즌 전 무작위 순서로 검사. 각 검사를 3회 수행.
-
스포츠 부상위험 결정 - FMS 점수 14점이상 또는 SEBT 4cm 미만일 경우 스포츠 부상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 - FMS 점수 14점이하 또는 SEBT 4cm 이상일 경우 스포츠 부상위험이 높은 것으로 간주.
|
|
|
Conclusions
-
FMS의 회전 안정성 검사 결과와 SEBT의 전방 도달 최대 결과 및 후방 내측 도달 최대 결과 사이의 보통 수준의 상관관계가 발견됐다. 이는 두 평가 모두 사지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자세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근육의 활성화가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저자들은 언급했다.
-
FMS의 몸통 안정성 푸쉬업과 SEBT의 우측 및 좌측 다리를 기준으로 한 후방 도달 최대값과 상관관계가 발견됐다.
-
FMS의 인라인 런지와 SEBT의 오른쪽 다리를 기준으로 수행한 전방 도달 최대치 사이에 보통수준의 상관관계가 발견됐다.
-
FMS의 회전안정성과 SEBT의 후방 측면 도달 최대치 간의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두 동작이 서로 다른 방향의 움직임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스포츠 부상이 높은 참가자 그룹과 낮은 참가자 그룹의 민첩성 및 수직 점프 검사 결과간 차이는 없었다.
-
FMS 검사를 기준으로 스포츠 부상 위험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에 SEBT, 민첩성, 수직점프 검사 결과 간 차이가 없었다.
|
|
|
Take field message
-
스포츠 부상 위험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간에 FMS, SEBT, 민첩성 및 수직 점프 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이들 검사자료를 부상 예측 인자로 활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
FMS와 SEBT 검사를 통해서 스포츠 부상 위험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지만 특정 검사의 몇몇 요소만 다른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점을 고려하면, 각각의 검사결과는 독립적이며 밀접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FMS 점수가 ≤14이거나 SEBT 점수 차이가 4cm 이상인 주니어 운동 선수는 스포츠 부상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