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방법으로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고 계신가요?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를 위한 고려사항
Horváth, Á., Ferentzi, E., Schwartz, K., Jacobs, N., Meyns, P., & Köteles, F. (2022). The measurement of proprioceptive accurac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ort and health science/, S2095-2546(22)00047-3.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16/j.jshs.2022.04.001 |
|
|
Introduction
-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은 자신의 신체 위치, 자세, 평형 및 움직임(운동의 정도, 운동의 방향) 등에 대한 감각으로, 우리 몸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래서 여섯번째 감각 즉 육감(six sense)으로 불린다.
- 고유수용성감각은 운동조절(motor control)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인체 모든 부위에 널리 인정되는 표준 평가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
|
|
Methods
- 스포츠 관련 연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수용성’관련 핵심어를 중심으로 6,378개의 자료를 1차로 검색하여 총 1,139편의 논문 중 1,346건의 고유수용성 정확도와 관련한 논문을 추출한 후 분석했다.
|
|
|
Conclusions
-
3가지의 측정방법(조절방법, 지속적인 자극 방법, 제한방법)을 통해 고유수용성 정확도의 8가지 측면(관절위치, 움직임의 범위, 궤적, 속도, 힘, 근육긴장, 무게, 크기)이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 현재 사용되는 고유수용성 검사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사용될 수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과 고려요소가 있다.
👉 하나의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특정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른 관절이나 측정한 반대측 신체 부위에 대한 고유수용성 값으로 일반화 할 수 없다(서로 다른 신체부위에 대한 서로 다른 테스트의 결과값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 테스트를 통한 결과 값의 명확한 기준(혹은 합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적절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있어 능동적인 움직임과 수동적인 움직임을 고려해야 한다.
테스트 시 자극의 크기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 검사자의 의식적인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움직임에 대한 고유수용성 능력을 평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
|
|
Take field message
- 일부 연구에서 고유수용성감각 측정을 위해 단순한 균형감각검사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목적에 맞는 타당한 검사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고유수용성검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관절 위치, 궤적, 속도, 움직임과 정도, 힘, 근긴장, 무게 등 평가하려는 고유수용성 측면이 결정되어야 한다.
- 피험자가 능동적인 움직임이나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는 수동적 테스트에 더 적합한지 고려할 필요도 있다. 능동적 움직임은 구심성 감각신호가 더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수동적 테스트는 원심성 신호도 지각에 기여한다. 이러한 시스템(구심성 및 원심성)은 완전히 분리하기 곤란하다.
- 고유수용성 정확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대상자(정상인인지 손상 혹은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지)를 고려하고, 평가에 사용되는 고유수용성 정확도의 요소들(관절위치, 궤적, 속도, 움직임정도, 힘, 근육긴장, 무게, 크기 등)을 명확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
|
|
🏋월간스포츠의과학 4분기 프로그램 안내⛹
매월 분야별 국내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스포츠의과학 강의를 실시간 온라인 라이브 강의와 녹화된 영상 다시보기로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기기"로 다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매월 1회 줌(zoom) 이용한 원격 화상강의 👉바빠서 웨비나를 놓쳐도 1개월간 무제한 스트리밍 👉강의자료 파일 제공
📕10월호(6일 저녁6시~9시) -Rehab for Ankle Instability_박지환 팀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Syndesmosis Injury_서상교 원장 / SNU 서울병원 -Jump Training Science_강성우 대표 / 3PS 퍼포먼스 랩)
📕11월호(3일 저녁 6시 30분~9시 30분) -SLAP 보존적 치료 vs 수술적 치료_금정섭 원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척추 보존적 치료의 대상과 고려사항_최인재 원장 / SNU 서울병원 -부상선수 멘탈 케어_강준모 원장 / 송파 드림 정신의학과
📕12월호(1일 저녁 6시~9시) -고관절 손상과 치료_한도환 원장 / SNU 서울병원 -무릎부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_조승익 실장 / 건국대학교 병원 -휘트니스 시합 준비를 위한 고려사항_김현중 실장 / 비식스 휘트니스
😀 지난 강의는 구독자 전용밴드에서 기한 내 무제한 다시보기 가능
⏰ 구독료: 5만원
✅ 계좌안내: 카카오뱅크 월간스포츠의과학 김상훈 3333-18-2562176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