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모니터링으로 부상을 피할 수 있을까?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트레이닝 모니터링
- Duggan, J. D., Moody, J. A., Byrne, P. J., Cooper, S. M., & Ryan, L. (2021). Training Load Monitoring Considerations for Female Gaelic Team Sports: From Theory to Practice. /Sports (Basel, Switzerland)/, /9/(6), 84. https://doi.org/10.3390/sports9060084
- Halson S. L. (2014). Monitoring training load to understand fatigue in athletes. /Sports medicine (Auckland, N.Z.)/, /44 Suppl 2/(Suppl 2), S139–S147. https://doi.org/10.1007/s40279-014-0253-z
- Soligard, T., Schwellnus, M., Alonso, J., Bahr, R., Clarsen, B., Dijkstra, H., Gabbett, T., Gleeson, M., Hägglund, M., Hutchinson, M., Janse van Rensburg, C., Khan, K., Meeusen, R., Orchard, J., Pluim, B., Raftery, M., Budgett, R. and Engebretsen, L., 2016. How much is too much? (Part 1)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onsensus statement on load in sport and risk of injury.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0(17), pp.1030-1041. http://bjsm.bmj.com/content/50/17/1030
- Bourdon, P., Cardinale, M., Murray, A., Gastin, P., Kellmann, M., Varley, M., Gabbett, T., Coutts, A., Burgess, D., Gregson, W. and Cable, N., 2017. Monitoring Athlete Training Loads: Consensus Stat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12, pp. S2-161-S2-170. http://journals.humankinetics.com/doi/abs/10.1123/IJSPP.2017-0208
- Gabbett, T., 2016. The training—injury prevention paradox: should athletes be training smarter and harder?.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0(5), pp.273-280. http://bjsm.bmj.com/content/early/2016/01/12/bjsports-2015-095788?__hstc=196135283.0bb2ae1552d2dda845881b6516c33848.1481673600081.1481673600082.14816736000
- Gabbett T. J. (2016). The training-injury prevention paradox: should athletes be training smarter and harder?.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0/(5), 273–280. https://doi.org/10.1136/bjsports-2015-095788
|
|
|
- 데이터로 세상을 설명하는 빅데이터 시대. 스포츠에서도 선수들이 생성하는 여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면 어떤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까? 시합이나 훈련 중에 트레이닝 부하(training load) 를 수집하여 분석하면 부상을 예방하고 오버 트레이닝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 작업부하(workload)로 해석될 수 있는 워크로드는 일정기간 운동 중 개인에게 부과되는 스트레스의 양으로 정의된다. 다소 모호한 개념처럼 보이지만 워크로드는 체력향상, 경기력 증진과 같은 훈련결과를 긍정적으로 끌어냄과 동시에 오버트레이닝 전단계인 over-reaching, 만성피로 그리고 질병 위험을 낮추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 훈련 부하를 모니터링하면 개별 선수와 팀 수준에서 모든 훈련 세션의 생리학적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강도를 조절하고, 경향을 파악하고, 훈련으로 게임 강도를 재현하는 것은 트레이닝 모니터링이 갖는 다양한 장점의 일부에 불과하다.
- 작업부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필요하다. 현장에서는 주로 훈련이나 시합에서 선수의 움직임을 강도와 양으로 표현한다.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은 트레이닝 모니터링과 처방을 위해 빈도, 강도, 시간, 유형, 볼륨 및 진행을 의미하는(FITT-VP)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각각 frequency, intensity, time, type, volume, progression을 의미한다.
***모니터링의 구성과 방법***
- 트레이닝 부하는 내적부하와 외적부하로 구분된다.
외적부하는 대부분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초로 선수가 완료한 작업으로 정의되며, 선수의 내적부하와는 별도로 측정된다. 도로 사이클링을 예로 들면 외적부하는 주어진 시간 동안 지속된 평균 출력이 해당된다(주로 와트로 표현, 30분 동안 400W 이런 식이다).
- 완료된 운동과 선수의 역량을 이해하는데 외부 부하가 중요하지만, 이와 함께 상대적인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 내적부하도 선수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변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외적, 내적부하 모두 선수의 훈련 부하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두 가지의 조합이 훈련 모니터링에 필요하다.
- 또 다른 모니터링 방법으로 급성부하(Acute workload)와 만성부하(chronic workload)의 비율을 확인하는 것이다. 급만성 부하비율(ACWR, Acute; Chronic Workload Ratio)로 불리는 이 모니터링 방법은 두 개의 다른 훈련 기간 사이의 비율을 나타낸다. 급성부하는 지난 1주 동안 수행한 훈련의 양을, 만성부하는 지난 4주 동안 수행한 훈련의 양으로 두 부하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는 이번 주에 수행한 훈련이 지난 4주의 평균보다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즉, 훈련부하의 급상승이나 정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로 활용가치가 높다.
[외적부하 모니터링 요소]
- GPS, 가속도계를 활용한 출력(Power Output), 스피드(Speed), 가속(Acceleration)의 측정
- 경기장 내 활동거리, 가속횟수, 점프 횟수
- 저항훈련 시 들어올린 중량, 횟수, 세트
- 신경근 기능 측정: 점프 테스트, 스프린트 기록 측정, 등속성, 등척성 근력
[내적부하 모니터링 요소]
- RPE: 운동자각도. 정량화 용이성을 위해 1~10 스케일 사용
- sRPE: 세션 RPE. 마찬가지로 1~10 스케일 사용
- HR: 심박수
- HRV: 심박변이도
- TRIMP: training impuse로 훈련 부하의 양적인 측정을 의미하는데, 훈련 시간과 심박수를 활용하여 계산되는 물리적인 노력의 단위
- 혈액분석: 젖산농도, 코티솔, 테스토스테론, 면역글로블린, 면역세포 등
- 인지기능
- 심리상태: POMS, REST-Q-Sport, DALDA, TQR 등
- 수면: 수면의 양과 질, 잠드는 시각 등
[급성 vs 만성부하 비율(ACWR: acute chronic workload ratio)]
- 선수가 느끼는 피로도 기반의 단기, 장기 부하의 비율로 급성부하는 7일, 만성부하는 28일이 기준이다. sRPE에 시간을 곱한 값으로 단기부하와 장기부하값의 비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sPRE는 1~10 스케일로 오늘 훈련에서 선수가 느낀 sRPE가 7이고 2시간을 훈련했다면 7 x 120(시간을 분으로 환산) = 840AU(AU는 단위).
- 급성부하가 만성부하에 비해 높을수록 선수는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만성부하가 높을수록 선수의 부하상태는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0.8~1.20의 비율이 적정수준이다. 급성 작업 부하가 만성 작업 부하보다 높으면 비율이 1보다 크고 부상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0.80에서 1.30 사이의 비율이 부상 위험이 가장 낮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 선수의 주간 훈련부하가 갑자기 급증하면 부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기준에 훨씬 못 미치는 급성부하는 신체가 변화를 촉진할 만큼 충분한 자극으로 작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력과 체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 이런 상황에서, 운동선수는 훈련에 대한 인내심을 잃어가고 있고, 이는 다시 부상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급성 및 만성 훈련 부하를 모니터링하면 부하가 균형을 이루고 지나치게 극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부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계속 언급되고 있지만, 두려워해야 할 지표는 아니다. 모니터링의 도구로 활용하며 장기적인 팀관리의 지표로 활용해야 한다. 이 자료는 잠재적인 부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트레이닝 모니터링 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
|
|
[결론]
- 연구가 지속되고 국내에서도 프로 수준의 엘리트 스포츠팀을 중심으로 부하 모니터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선수, 지도자와 트레이너들이 부하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욱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 부하 모니터링을 위한 과학적 원리를 활용하는 것은 과훈련증후군, 질병 및 부상의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 많은 운동 선수가 높은 훈련 부하와 높은 훈련 및 시합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된 위험을 관리하고 선수의 최적의 생리적, 심리적 건강과 웰빙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 트레이닝 모니터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
|
|
🏋월간스포츠의과학 4분기 프로그램 안내⛹
매월 분야별 국내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스포츠의과학 강의를 실시간 온라인 라이브 강의와 녹화된 영상 다시보기로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기기"로 다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매월 1회 줌(zoom) 이용한 원격 화상강의 👉바빠서 웨비나를 놓쳐도 1개월간 무제한 스트리밍 👉강의자료 파일 제공
📕10월호(6일 저녁6시~9시) -Rehab for Ankle Instability_박지환 팀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Syndesmosis Injury_서상교 원장 / SNU 서울병원 -Jump Training Science_강성우 대표 / 3PS 퍼포먼스 랩)
📕11월호(3일 저녁 6시 30분~9시 30분) -SLAP 보존적 치료 vs 수술적 치료_금정섭 원장 / 세종스포츠정형외과 -척추 보존적 치료의 대상과 고려사항_최인재 원장 / SNU 서울병원 -부상선수 멘탈 케어_강준모 원장 / 송파 드림 정신의학과
📕12월호(1일 저녁 6시~9시) -고관절 손상과 치료_한도환 원장 / SNU 서울병원 -무릎부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_조승익 실장 / 건국대학교 병원 -휘트니스 시합 준비를 위한 고려사항_김현중 실장 / 비식스 휘트니스
⏰구독료: 3개월 5만원
✅ 계좌안내: 카카오뱅크 월간스포츠의과학 김상훈 3333-18-2562176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