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전 자료 수집을 통해 훈련결과를 예측해볼 수 있다는데... 컨디션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활용 원저(링크 연결): Alma K. Crouch , Michael R. Jiroutek , Ronald L. Snarr & Jennifer A. Bunn (2021). Relationship between pre-training wellness scores and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loads in a Division I women’s lacrosse team. Journal of Sports Sciences, 03 Jan 2021. https://doi.org/10.1080/02640414.2020.1857106 👨🎓연구목적 표준화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훈련 전후 선수의 컨디션을 확인하는 것은 선수의 건강과 기량을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를 위해 매일의 훈련에서 선수들로 부터 수집되는 많은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선수지원인력(지도자, 선수트레이너, 스포츠의과학자)의 몫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선수 개인에 맞은 훈련프로그램과 휴식전략 수립을 위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훈련 전 선수들에게서 수집된 컨디셔닝 관련자료와 훈련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습니다. 👩🎓연구방법 훈련 데이터는 NCAA Division I* 소속 여자 라크로스팀 선수를 대상으로 13주의 비시즌기 동안 수집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훈련내용(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훈련 중 총 이동거리, 고강도 이동거리, 속도, 지속시간, 스프린트 횟수, 훈련부하 등)을 양과 질적으로 평가하여 수집하고 설문지를 이용한 훈련 후 웰니스(wellness: 이 연구에서 수면, 에너지, 스트레스, 근피로와 통증을 웰니스로 규정함) 검사로 훈련내용과 관련성을 분석하였습니다. *미국 대학 스포츠리그(NCAA)는 Division I, II, III라고 하는 3가지 리그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가장 규모가 크고 재정이 빵빵한 대학들이 Division I에 몰려 있고, 작은 학교일수록 III에 가깝다; 나무위키 참조 🛠 연구결과 📌 수면점수가 높을수록 훈련 중 총 이동 거리(310.5m, 95%CI 36.7-584.3), 고강도 거리(72.7m, 95%CI 17.2-128.3), 훈련부하(6.8AU, 95%CI)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 선수가 에너지 수준이 높다고 느낄수록 총 거리가 증가했으며(323.6m, 95%CI 52.2-594.9) 및 훈련부하(최대 5.6AU. 95%CI 0.6~10.5)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 전체 웰니스 점수가 1단위씩 증가할 때 마다, 총 거리(3.5m, 95%CI 1.2-15.1) 및 훈련부하(0.2AU, 95%CI 0.0-0.3)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수들이 컨디션이 좋다고 느낄수록 훈련의 양과 질이 우수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결론 📍훈련 전 사전에 수집된 웰니스 점수가 훈련의 양과 질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수의 건강 상태와 컨디셔닝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면 코치가 훈련 및 경기 성과와 관련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Take field message 📝 😀 본 연구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결론은 사전에 수집된 선수 컨디셔닝 자료를 통해 그 날의 훈련 성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선수의 컨디션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축적된 자료에서 선수의 특성과 훈련에 대한 반응을 이해할 수 있고 개별적인 피드백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주기화 훈련계획에 따른 단, 중, 장기훈련 계획 수립뿐 아니라 매일 매일의 훈련에도 선수들의 컨디션을 고려하여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들 자료로 그 날의 훈련 피드백을 예측해볼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는 시즌과 비시즌기에 걸쳐 연속성을 갖고 수집되어야 합니다. 😥 지도자는 사전에 수집된 자료를 확인하고 컨디션이 좋지 않은 특정 선수의 훈련을 줄이거나 제한하여 부상 위험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 반면, 팀 전체의 컨디션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강도와 난이도 높은 훈련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 자료수집에 대한 질문은 일관되고 직접적이며 분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스포츠의과학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검증된 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 휴식을 훈련의 일부로 간주하고 훈련 후 적극적인 휴식으로 선수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적극적인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평생학습 무한연구를 실천하는 월간스포츠의과학이었습니다.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