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수직 vs 수평 플라이오메트릭 비교
Kaushik Talukdar(2022). The Effects of Vertical vs. Horizontal Plyometric Training on Sprinting Kinetics in Post Peak Height Female Student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2(1). https://doi.org/10.47206/ijsc.v2i1.89
Introduction
플라이오메트릭은 도약과 단거리 질주 능력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트레이닝으로 신경 효율성과 폭발적인 근수축력 향상을 위해 많은 스포츠에서 실시하는 훈련이다.
플라이오메트릭은 원심성 수축, 등척성 수축 그리고 구심성 수축의 세 단계로 완성되는데 이를 stretching shortening cycle 이라고 한다. 원심성 단계에서 골지건 기관(golgi tendon organ)이 일반적인 근력훈련보다 더 신장되기 때문에 더 큰 출력을 만들어 내는데 유리하다.
다양한 형태의 플라이오메트릭이 개발되어 적용되었지만,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스프린트 속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스프린트 속도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플라이오메트릭(수평 및 수직) 효과를 비교했다.
Methods
여자 대학생 운동선수 30명을 무작위로 세 그룹(수직, 수평,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주일에 두 번씩 7주간 훈련을 시켰다.
훈련 참가 전후 30m 스프린트 테스트, 수직점프, 제자리 멀리뛰기, 허벅지 등척성 근력을 측정하여 트레이닝 효과를 비교했다.
수직과 수평 플라이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Conclusions
훈련 후 플라이오메트릭을 실시한 두 그룹 모두 대부분의 변수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하지만, 수직 훈련그룹은 멀리뛰기와 수직점프 기록에서, 수평 훈련그룹은 스프린트 기록에서 더 높은 향상율을 나타냈다.
Take field message
이 연구는 수평과 수직 플라이오메트릭이 젊은 여성 운동선수의 스프린트, 등척성 근력 및 도약능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전력질주 능력은 수평 플라이오메트릭 그룹에서 더 높은 향상을 나타났는데, 이는 힘의 방향과 실제 동작에 유사한 운동 패턴의 반복 연습의 결과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추가 연구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 스포츠 상황에서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패턴의 스프린트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심성 강도와 착지 조건을 달리한 여러 조건의 훈련이 필요하다.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