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테이핑 방식에 따른 슬개대퇴동통증후군환자의 효과 비교
Deng, F., Adams, R., Pranata, A., Cui, F., & Han, J. (2022). Tibial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taping for improving pain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25/(8), 644–648. https://doi.org/10.1016/j.jsams.2022.04.003
Introduction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PFPS, patellofemoral pain syndrome)은 무릎의 흔한 통증 원인 중 하나이다. PFPS의 주요 증상은 무릎 앞쪽 통증을 동반하며 쪼그려 앉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악화되고 일상 생활에 필요한 활동(ADL)에 상당한 불편감을 초래한다.
실제로, PFPS을 갖고 있는 많은 이들이 통증 때문에 신체 운동을 포기하기도 하는데, 이는 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줄여 운동기능을 더욱 감소시킬 가능성을 높게 만든다. PFPS 환자에게 적절한 운동은 통증조절과 운동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운동과 함께 슬개골 주변 테이핑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고 운동기능을 개선하고자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하지만 일부 테이핑은 무릎 굴곡에 제한을 초래하여 무릎 관절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운동 중 무릎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유사한 통증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테이핑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많은 선행연구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점을 고려하여 남성을 대상으로 PFPS의 통증 관리를 위한 경골 회전방식에 따른 테이핑 방법의 효과를 비교했다.
Methods
PFPS 남성 환자 15명(신장 174.9±5.8 cm, 체중 68.3±10.2 kg)을 무작위로 내회전 테이핑과 외회전 테이핑을 시행하여 치료하였다.
테이핑을 하는 동안 참가자들은 싱글 레그 스쿼트, 더블 레그 스쿼트, 대퇴사두근 최대 등척성 수축의 세 가지 임상 테스트를 무작위 순서로 수행하도록 요청받았다. 통증은 VAS를 사용하여 채점했다.
원문에서 그림 발췌) 경골 회전 방식에 따른 2가지 테이핑 방법 a. 내회전 테이핑 방법: 테이프는 비골 골두에서 시작하여 내측방향 45° 나선형으로 올라와 슬와를 통과하여 허벅지의 전외측면까지 부착한다. b. 외회전 테이핑 방법: 테이프는 경골 내측 결절 아래 2cm에서 시작하여 45° 나선형으로 올라와 슬와 측면을 가로질러 대퇴내측까지 부착한다.
Conclusions
내회전 테이핑과 외회전 테이핑 모두 테이핑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3가지 모든 임상 검사에서 유의한 통증을 개선을 나타냈다(p < 0.001).
두 가지 테이핑 방법에 따른 차이는 내회전 테이핑보다 외회전 테이핑이 더 효과적이었다/(p = 0.044).
각 검사에서 테이핑 후 통증 개선 정도는 초기 통증 정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원문에서 그림 발췌)
Take field message
테이핑은 운동학적 변화, 관절 정렬 개선, 근활성화, 고유수용성감각 변화, 통각 입력 억제를 통해 통증과 운동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FPS 환자에게 경골을 중심으로 내회전 또는 외회전 방식의 테이핑은 통증조절에 효과가 있으며 외회전 방식의 테이핑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는 테이핑 전 통증이 클수록 컸다.
이러한 테이핑 방법은 관련 통증 및 운동 장애를 비교적 쉽고 빠르게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PFPS의 임상 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테이핑 효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개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적용이 필요하다.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