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선수의 시즌 중 컨디션 확인을 위한 모니터링 결과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미국 여자대학 축구선수의 시즌 중 컨디션 모니터링
McFadden, B. A., Walker, A. J., Bozzini, B. N., Hofacker, M., Russell, M., & Arent, S. M. (2022).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Response to the Cumulative Demands of a Women's Division I Collegiate Soccer Seaso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6(5), 1373–1382.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4062 |
|
|
Introduction
- 적절한 회복은 훈련만큼 중요하다. 트레이닝과 회복의 불균형 상태는 선수에게 육체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밖에 없다.
- 운동수행능력을 최적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시즌 중 피로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이를 위해 최근에는 GPS, 가속도계, 스마트 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선수의 생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심리적 웰빙상태를 평가하는 방법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시도되고 있다.
- 수집된 데이터는 훈련계획이나 시합을 대비하는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 모니터링의 주요 목표는 운동 선수가 수행하는 육체적 부하를 정량화하고 심리적 반응을 평가하는 것이다.
- 이러한 과정은 지도자가 시즌 후반까지 경기력을 유지하고 선수보호를 위한 전략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한편, 이와 관련한 상당수 연구가 남자를 대상으로 했는데 본 연구는 여자 대학 축구팀의 시즌별 다양한 심리생리적 변수의 변동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
|
Methods
-
25명의 NCAA D1 소속 여자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생리적, 심리적 변수들을 시즌 전반에 걸쳐 모니터링 했다.
- 훈련 부하, 운동 중 에너지 소비와 심박수, 총 주행 거리 및 고속 질주 거리를 훈련 및 대회에서 GPS, 심박수 모니터와 가속도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 측정은 시즌 전(S1) 및 이후 4주마다(S2, S3, S4) 총 4회에 걸쳐 심리적 건강 및 수면 설문지의 주관적인 측정과 함께 카운트 무브먼트 점프(CMJ), 다양한 혈액검사 변인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
혈액검사변인 스트레스 (cortisol), 근손상(creatine kinase), 염증(interleukin-6), 동화작용(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 testosterone), 생식건강(estrogen, prolactin,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대사(tri-iodothyronine and thyroxine), 영양상태(iron, tryptophan, glutamine, phenylalanine, and taurine)
-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리적 웰빙(예: 우울한 기분, 활력, 스트레스, 피로)과 수면의 양과 질을 평가했다.
|
|
|
Conclusions
- 총 훈련 부하는 S1에서 S2까지 가장 높았고(p<0.05) S2에서 S3에서 감소했으며, S3에서 S4까지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는 S2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가 S3에서 기준선으로 회복됐다.
-
시즌 내내 회복되지 못했던 변수: * 단백 동화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은 꾸준히 감소 * 활력에 대한 보고는 지속적인 감소
-
시즌 후반부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변수: * 염증 지표인 IL-6 수치가 상승 * 피로 증가와 우울한 기분으로 인해 총 훈련 고통(total training distress) 증가 *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 높이와 트립토판 수치도 테스트 후반부에서 감소 * 수면 지표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음. * 심리적 웰빙상태는 시즌 진행에 따라 저하->심리적 피로감 증가
|
|
|
Take field message
- 객관적인 생리학적 데이터와 주관적인 심리적 웰빙 분석자료는 훈련 부하와 선수 반응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를 컨디션 지표로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선수간에 경쟁심 유도를 통해 동기부여와 훈련 집중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 혈액 검사는 비용이 발생하지만, 선수 개인의 건강과 컨디션 상태에 대한 답을 제공하여 객관적인 평가자료로 활용도가 높다.
- 경험과 직관으로 선수의 경기력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방법은 허점이 많다. 선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필수 과정이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