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증가에 따른 축구선수의 경기력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Main article
Rey, E., Lorenzo-Martínez, M., López-Del Campo, R., Resta, R., & Lago-Peñas, C. (2022). No sport for old players. 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effects on match performance in elite soccer.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25(6), 535–539. https://doi.org/10.1016/j.jsams.2022.03.004
*월간스포츠의과학 해외저널 스터디 그룹에서 발표한 임찬빈 멤버의 글을 재구성했습니다.
*글쓴이: 임찬빈(한국체육대학교 졸업)
|
Introduction
- 노화는 누구나 경험하게 되며 선수 경기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엘리트 스포츠에서 선수들의 활동기한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의 전성기와 경기력과 관련된 연령의 영향을 이해하면 지도자와 구단 실무자들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엘리트 축구 선수의 일반적인 은퇴시기는 31세에서 35세 사이로 평균 8년에서 11년의 선수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서 25~27세를 축구선수의 전성기로 포지션에 따라 포워드는 25세 전후, 미드필더와 수비수는 27세로 보고되었다. 30세 이상의 축구선수는 총 주행 거리, 고강도 활동, 전력 질주 거리, 가속 및 감속 횟수에서 현저히 낮은 퍼포먼스를 나타내며 이러한 연령과 관련한 경기력의 저하는 중앙 수비수, 중앙 미드필더 및 포워드에서 더 두드러진다.
- 대부분의 연구가 횡단적인 연구였던 점에 반해 이 연구는 종단적 설계로 엘리트 축구 선수의 경기 관련 신체적, 기술적-전술적 수행과 연령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Methods
- 스페인 프로축구 선수 154 명을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다중 카메라 컴퓨터 광학 추적 시스템인 TRACAB을 이용하여 선수를 개별관찰하고 총14,092 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표본 선발 기준은 한 시즌 당 풀타임 90분 뛴 경기가 최소 5경기 이상, 5시즌 이상 출전한 선수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포지션은 중앙미드필더(CM, central midfielders), 중앙수비수(CD, central defenders), 측면수비수(ED, external defenders), 측면미드필더(EM, external midfielders), 포워드(F, forwards) 5가지로 구분
- 측정 요인은 총 주행 거리(TD, total distance), 고강도 달리기 거리(HIR, high-intensity running), 고강도 달리기 횟수(N of HIR), 패스정확도(PA, pass accuracy)로 구분하였다.
|
Conclusions
-
연령증가에 따라 매년 총 주행 거리가 평균 0.56% 감소했고, 고강도 러닝 횟수와 거리는 매년 각각 1.80% 및 1.42% 감소했다.
-
패스 정확도는 매년 평균 0.25%씩 향상되었다.
-
총 거리와 고강도 달리기에 대한 영향은 측면 수비수, 측면 미드필더 및 포워드에서 더 컸다.
-
패스 정확도에 대한 연령의 긍정적인 영향은 중앙 수비수와 중앙 미드필더에게 더 컸다.
-
이처럼 대부분의 축구선수는 연령증가에 따라 체력적인 기능저하가 나타났다. 하지만, 노화와 관련된 신체 능력 저하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전술 기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
Take field message
-
프로 축구 선수의 경기 중 총 주행거리와 고강도 러닝 횟수는 체력변화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되어야 한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선수계약, 교체 시기 결정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측면수비수(ED, external defenders), 측면미드필더(EM, external midfielders), 포워드(Forward)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력변화를 가장 많이 받는 포지션으로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바로고침
지난 호에 실었던 원문링크가 잘못되어 다음으로 정정합니다.
Martínez-Navarro, I., Montoya-Vieco, A., Collado, E., Hernando, B., Panizo, N., & Hernando, C. (2022). Muscle Cramping in the Marathon: Dehydration and Electrolyte Depletion vs. Muscle Damag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6(6), 1629–1635.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3713
🤗알림
월간스포츠의과학 뉴스레터는 한 달에 4편을 발행합니다. 7월 마지막주는 5주차로 한 주 쉽니다.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