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Main article
Schumann, M., Feuerbacher, J.F., Sünkeler, M. /et al./ Compatibility of Concurrent 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for Skeletal Muscle Size and Functio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 *52,*601–612 (2022). https://doi.org/10.1007/s40279-021-01587-7
*월간스포츠의과학 해외저널 스터디 그룹에서 발표한 어중선 대표(주식회사 휼)의 글을 재구성했습니다.
*글쓴이: 어중선(피트니스 컨설팅 주식회사 휼 대표/국민대 체육학 박사수료)
Introduction
운동 관련 근경련(Exercise-associated muscle cramps, EAMC)은 선수의 수행력을 제한하고, 경기를 포기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이다. EAMC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크게 두 가지 이론이 제기되어 왔다.
1. 운동 중 수분 혹은 전해질의 부족이나 불균형에 의해 근경련이 유발된다고 주장하는 ‘탈수 및 전해질 고갈 이론(dehydration-electrolyte imbalance theory)
2.과도한 근육 피로로 인해 근경련이 유발된다고 주장하는 ‘*변경된 신경근 조절 이론(altered neuromuscular control theory)이다. 이와 관련한 연구결과가 축적되면서 ‘탈수 및 전해질 이론’보다는 ‘ 변경된 신경근 조절 이론’ 쪽에 더욱 많은 근거가 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라톤을 완주 시 EAMC를 경험한 주자와 non-EAMC 주자 간에 탈수 및 혈청 내 전해질과 근육 손상 효소의 차이를 관찰하고, EAMC를 경험한 선수와 non-EAMC 선수 간 달리기 전략이나 훈련 관련 변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Methods
1. 연구대상 1) 장소 : 스페인 Valencia Trinidad Alfonso EDP 2016 2) 대상 : 98명(남 : 83명/여 : 15명) 중 최종 84명(남 : 72명/여 : 12명)의 표본 수집 3) 선정 기준:
- 나이 : 30~45세 - BMI(신체질량지수) : 16~24.99 - 건강 상태 : 심장 혹은 신장질환이 없고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건강한 사람
2. 진행
1) 대회 2~4주 전 훈련 및 대회 관련 정보 *설문지* 수집 : 달리기 경력/마라톤 완주 횟수/주당 훈련 일수/주당 달리기 양/주당 훈련시간/시합 전 휴식시간/(하체)근력훈련 주당 빈도 등. 운동부하검사(CPET, Cardio pulmonary exercis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