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Main article
Russell, S., Jenkins, D. G., Halson, S. L., & Kelly, V. G. (2022). Mental fatigue increases across a 16-week pre-season in elite female athlete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25(4), 356–361. https://doi.org/10.1016/j.jsams.2021.12.002
Introduction
선수는 시합과 훈련을 반복하며 여러 단계에서 육체적 정신적 피로로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육체적, 정신적 피로는 시합이나 경기시즌의 시기와 상관없이 장기간에 걸쳐 누적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육체적 피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정신적 피로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번 연구는 집중적인 프리시즌 훈련 기간 중 정신적, 육체적 피로의 잠재적인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Methods
16주간의 프리시즌 동안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네트볼(bet ball) 종목의 엘리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이들은 주당 4회의 코트 훈련과 6회의 기타 훈련(근력, 전략 전술 분석 및 훈련)을 비롯한 총 10회의 훈련량을 소화했습니다.
선수들은 매주 VAS 스케일로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운동수행준비 상태에 대해 평가하고 스트레스의 생리적 지표로 알려진 타액 속의 코티솔과 알파 아밀라제 농도를 분석했습니다.
Conclusions
연구 개시 시점과 프리시즌 초반부에 비해 후반부에 정신적 피로도가 유의하게 높있습니다. 운동수행준비상태는 육체적 피로와 관련성이 없었지만 정신적 피로 수준과 반비례 관계를 보였습니다. 또한 이동(travel)과 상대팀 전략분석을 하는 기간에는 더욱 높은 심리적 피로를 나타냈습니다. 이동기간과 상대를 분석하는 기간에는 더 높은 수준의 정신적 피로가 발견되었습니다.
타액 코티솔과 알파 아밀라제 농도는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관련성이 없었습니다.
Take field message
선수들은 시합 준비기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다양한 수준의 피로를 경험합니다. 정신적 피로도가 높을수록 운동을 준비하는 선수의 상태는 낮은 점수를 나타냅니다. 특히 장거리 이동중이거나 상대팀 전력을 집중 분석하는 기간에는 더욱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에서 육체적 정신적 피로가 프리시즌 후반부에 악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도자와 트레이너는 훈련 전반에 걸쳐 선수의 피로를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피로정도를 확인하고 훈련 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본 연구와 같이 주간 단위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일관되고 정기적인 방식으로 좀 더 자주 모니터링할 것을 추천합니다.
육체적인 측면의 관리와 함께 정신적 피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필요합니다.
한편, 타액 코르티솔이나 알파 아밀라아제 농도를 심리적 스트레스의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습니다.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