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번째 뉴스레터:
스포츠 뇌진탕 예방을 위한 고려사항 |
|
|
- Honda, J., Chang, S. H., & Kim, K. (2018). The effects of vision training, neck musculature strength, and reaction time on concussions in an athletic populatio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14(5), 706–712. https://doi.org/10.12965/jer.1836416.208
- Eckner, J. T., Goshtasbi, A., Curtis, K., Kapshai, A., Myyra, E., Franco, L. M., Favre, M., Jacobson, J. A., & Ashton-Miller, J. A. (2018). Feasibility and Effect of Cervical Resistance Training on Head Kinematics in Youth Athletes: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7(4), 292–297. https://doi.org/10.1097/PHM.0000000000000843
|
|
|
출처: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7(4), 292–297. |
|
|
- 반응시간 개선: 선수의 반응 시간이 빠를수록 머리를 향해 오는 충격이나 물체에 대해 방어 준비 시간이 늘어난다. 실제로 빠른 반응시간을 가진 선수들은 머리부상이 덜 심했다. 머리로 가해질 충격을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부상의 심각성은 증가한다.
- 시각자극 훈련: 시각자극과 뇌진탕과 관련성을 입증한 흥미로운 연구가 있다.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남자선수에 비해 여자선수가 헤딩 시 눈을 더 자주 감는 경향이 있고 머리 부상이 더 심하다는 것이다. 경기상황과 플레이에 대한 시각적 인지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뇌진탕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시각자극 트레이닝은 뇌진탕 예방과 위험율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