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 족저굴곡과 배측굴곡의 차이 - 발목 굴곡자세에 따른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
|
|
- Nishida, S., Ito, W., Ohishi, T., Yoshida, R., Sato, S., & Nakamura, M. (2022). The Effect of Ankle Position on Peak Eccentric Force during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21/(1), 43–48. https://doi.org/10.52082/jssm.2022.43
-
Timmins R.G., Bourne M.N., Shield A.J., Williams M.D., Lorenzen C., Opar D.A. (2016) Short biceps femoris fascicles and eccentric knee flexor weakness increase the risk of hamstring injury in elite football (soc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0(24), 1524-1535. https://doi.org/10.1136/bjsports-2015-095362 10.1136/bjsports-2015-095362
|
|
|
- 햄스트링 부상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입니다. 햄스트링이 전력 질주 시 착지동작에서 운동량을 줄여 무릎 신전 모멘트를 흡수하기 위한 원심성 수축이 과도한 긴장상태를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
|
|
- 햄스트링 부상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입니다. 햄스트링은 전력 질주 시 착지동작에서 운동량을 줄여 무릎 신전 모멘트를 흡수하기 위한 원심성 수축이 과도한 긴장상태를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 햄스트링 근력은 발목의 굴곡상태에 영향을 받는데, 등척성 무릎 굴곡 시 발등을 곧게 편 족저굴곡보다 배측굴곡 자세에서 더 높은 근력(14-22%)을 나타냈습니다. 등속성 장비로 측정한 무릎 굴곡 근력(60°/s의 각속도)에서도 족저굴곡에 비해 배측굴곡자세에서 더 높은 근력(7-13%)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배측굴곡 자세로 무릎 굴곡 트레이닝을 한 경우 저측굴곡한 트레이닝보다 더욱 효과가 높았습니다. 이처럼 무릎 굴곡운동 시 저측굴곡보다는 배측굴곡이 유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 그렇다면 햄스트링 부상예방을 위한 운동으로 유명한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 발목 굴곡상태에 따라 근력발휘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
|
|
- 이번 연구는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 발목 위치에 따른 최대 신전근력의 차이를 비교했습니다. 50명의 남성 럭비 사회인 선수(나이 = 18.7 ± 1.24세)를 발목 포지션(배측굴곡, 저측굴곡) 상태에서 최대 신전근력을 평가했습니다.
|
|
|
- 이미지 출처: Nishida, S., Ito, W., Ohishi, T., Yoshida, R., Sato, S., & Nakamura, M. (2022). The Effect of Ankle Position on Peak Eccentric Force during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21/(1), 43–48.
|
|
|
- 이번 연구는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 발목 위치에 따른 최대 신전근력의 차이를 비교했습니다. 50명의 남성 럭비 사회인 선수(나이 = 18.7 ± 1.24세)를 발목 포지션(배측굴곡, 저측굴곡) 상태에서 최대 신전근력을 평가했습니다.
- 분석결과,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에는 배측굴곡보다 족저굴곡상태에서 원심성 최대근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발목 족저굴곡 자세가 고관절과 체간근육 활성화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저자들은 기술했지만 이를 검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습니다. 한편 족저굴곡과 배측굴곡 근력간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햄스트링의 높은 원심성 근력은 부상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햄스트링의 최대원심성 근력이 체중 1kg당 4.35 N/kg 미만일 경우 햄스트링 부상위험이 2.5배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 일부 피험자들이 족저굴곡 상태에서만 4.35N/kg을 초과했습니다.
- 이는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시 더 큰 원심성 근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발목을 족저굴곡시키는 것이 유리한 자세임을 시사합니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