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간의 저탄고지 다이어트 Antonio Paoli, A., Mancin, L., Caprio, M. et al. Effects of 30 days of ketogenic diet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muscle area, metabolism, and performance in semi-professional soccer players. J Int Soc Sports Nutr 18, 62 (2021). https://doi.org/10.1186/s12970-021-00459-9 |
|
|
케톤 식이요법은 지방함량이 높은 음식과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며 탄수화물은 일일 전체열량의 5% 이내로 제한하는 식이요법입니다. 대중들에게는 저탄고지로 더 유명하죠. 제한된 탄수화물에서 부족한 열량은 지방에서 섭취한 에너지로 충당하는데 이 때 케톤이 생성됩니다. 지방을 분해하여 케톤을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이죠. 케톤은 지방이 분해될 때 간에서 생성됩니다.
케톤 식이요법은 일반인 뿐 아니라 일부 운동선수들에게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식이요법의 장점은 무엇보다 체중감량 효과가 매우 높다는 점이며 비시즌기 엘리트 선수의 체중조절을 위한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운동선수의 케톤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운동수행능력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체중감소를 꾀할 수 있다는 연구와 지구력감소, 콜레스테롤 상승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보고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16명의 세미 프로 남자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케톤 식이요법 또는 서구식 식이 요법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30일간 식단을 제공하고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
|
|
-케톤 식이요법 그룹은 쇠고기, 닭고기, 생선 등의 충분한 육류와 채소를 제공받았습니다(단백질 1.8g.kg.d-1; 탄수화물: <30g.d-1; 지방: 총 칼로리의 65-70%).
-서구식 식단그룹은 일정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고르게 구성한 식단을 제공받았습니다. (단백질: 1.8g.kg.d -1 ; 탄수화물: 총 칼로리의 50-55%; 지방: 총 칼로리의 20-25%).
-훈련은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수준의 신체 활동을 수행하도록 엄격하게 통제되었습니다.
- 측정은 체성분, 근력, 대퇴사두근 횡단면적, 에너지 대사와 운동수행능력 측정을 위해 요요테스트와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를 실시했습니다.
- 검사 첫째 날 참가자의 호흡 교환율, 휴식 시 에너지 소비량,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를 이용한 체성분 및 대퇴사두근 단면적을 측정했습니다. 하루 휴식 후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를 실시하고 이틀 더 휴식을 취한 후 요요 테스트와 대퇴사두근의 최대 등척성 근력도 평가되었습니다.
- 연구결과
* 체지방, 내장지방조직, 허리둘레, 세포외수분은 케토 식이그룹이 서구식 식이그룹보다 더욱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 제지방 체중, 대퇴사두근 면적, 최대 등척성 근력 및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두 그룹에서 변화가 없었습니다. * 안정시 대사량은 케토 식이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 요요 테스트는 두 그룹 모두 개선되었으나 그룹 간 차이는 없었습니다. * 두 그룹 모두 요요 테스트와 카운터 무브먼트 테스트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그룹 간 차이는 없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케토 식이요법을 실시한 선수들은 근력, 파워 및 근육량에 부정적인 영향없이 체지방을 감소시켰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선수의 빠른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할 경우 케토 식이요법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남성 축구선수였던 점을 고려하여 대상을 확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
|
[Take field message] * 많은 연구들에서 운동수행능력과 관련하여 케토제닉 다이어트의 부정적인 영향을 보고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축구와 같은 팀 스포츠에서 파워와 근육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단기간에 체지방을 줄이는 실행 가능한 전략일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 이전의 연구에서 케토 식이요법의 장기간 실시가 총 콜레스테롤 상승, 혈압상승, 동맥 경화증과 같은 특정질병의 위험성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케토 식이요법의 식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식사 계획, 조리법, 전해질 균형을 위한 전략 등에 대한 스포츠 영양전문가의 사전 교육이 풜요합니다.
* 식단 제한으로 인해 운동선수가 섭식 장애를 일으키거나 음식과 건강에 해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심리적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