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도 스포츠 못지 않은 강도높은 신체활동입니다. 무용수의 저항훈련 효과 원저: Dowse, Rebecca A.1,2,3; McGuigan, Mike R.1; Harrison, Craig1,4 Effects of a Resistance Training Intervention on Strength, Power, and Performance in Adolescent Dancer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December 2020 - Volume 34 - Issue 12 - p 3446-3453 doi: 10.1519/JSC.0000000000002288 저항훈련이 무용수의 근력, 파워와 무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무용은 체력보다는 예술적인 측면이 더욱 강조되는 신체활동입니다. 무용수의 체력특성을 연구한 많은 연구에서 높지 않은 유산소 체력과 근육의 불균형과 근력약화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9주의 저항 훈련이 청소년 무용수의 하체 근력, 파워, 균형감각 및 무용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었습니다. 👩🎓연구방법 대상 재즈, 발레, 컨템포러리전공의 청소년 여성 무용수 12명이 9주간 저항훈련을 실시(경력 9.2±2.4세, 연령14.2±1.9세, 키 155.6±9.1cm, 체중 48.9±13.8kg). 측정변인 신체계측(신장, 앉은 키, 체성분), 주관적인 무용능력, 동적 균형 감각(eye open, eye closed), 등척성 하지 근력검사, 파워(수직 역동 점프, 스쿼트 점프), 및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CMJ), 스쿼트 점프 (SJ), 외발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 (SLCMJ)를 측정하였습니다. 무용능력은 리커트 척도로 1에서(실력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 10(매우 우수한 실력)까지의 타이밍과 리듬을 보여주는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주관적인 무용능력을 평가. 저항성 훈련 플라이오 메트릭, 데드리프트, 런지, 구부러진 행, 팔굽혀 펴기 및 기타 다양한 운동을 포함하는 9주간의 저항 훈련 프로그램 (2-4세트 x 8-15회 반복)을 완료했습니다. 🔎 리커트척도란?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설문 조사 등에 사용되는 심리 검사 응답 척도의 하나로, 각종 조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커트 척도에서는 응답자가 제시된 문장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답변하도록 한다. 리커트 척도라는 명칭은 이 척도 사용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한 렌시스 리커트(Rensis Likert)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Likert, 1932). 라이커트 척도라고도 한다. 리커트 척도는 문장을 제시하고 그것에 대해 대답하는 형식이다. 응답자들은 그 문장에 대한 동의/비동의 수준을 응답하고, 그 문장을 어떻게 객관식/주관적 평가를 응답한다. 응답범주에 명확한 서열성이 있어야 하며 설문지에서 문항들이 갖는 상대적인 강도를 결정한다.[1] 5단계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많지만, 학자에 따라서는 7단계 또는 9단계 척도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경우도 많다.
리커트 척도는 양극 척도 방법이며, 그 문장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운데에 있는 "보통이다."를 없애고 긍정과 부정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리커트 척도는 어떤 요인에 의해 결과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응답자는 극단적인 선택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제시된 문장에 동의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과 자신이 속한 조직이 긍정적으로 보이도록 하려는 경향이 있다. (출처: 위키백과) 🛠 연구결과 분석결과 눈을 뜨고 측정한 균형능력검사에서 개선된 기록을 나타냈으며 등척성 하지근력(16.6 %)과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CMJ) (6.7 %)도 향상되었습니다. 무용기능에 대한 주관적 평가 점수는 모든 참가자에서 관찰되었으며, 움직임 범주의 조절항목에서 가장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청소년기 성장으로 인한 체질량의 미미한 증가가 있었으나 체지방률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상의 결과는 저항훈련이 예술적 또는 미적 구성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주지 않으면서 동적균형능력, 하지근력 및 파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성장이 왕성한 청소년기의 특성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독자분들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Take field message 📝 🤦 무용수들은 엘리트 선수 못지않은 강도높은 신체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합니다. 특히 공연준비 기간에는 하루 6시간 이상 고강도의 연습에 참여합니다. 💁 무용수들의 연습내용은 주로 스트레칭과 무용기술 훈련에 집중되어 있으며 무용에 필요한 체력훈련이나 기타 보조 훈련을 병행할 것을 권장합니다. 🙆♂️ 미적 표현능력이 중요시되는 무용특성으로 무용수들은 체형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저항훈련으로 인한 근비대 현상이 체형변화에 미칠 우려는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근력향상이 균형능력, 근력향상을 유도하고 무용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미루어 무용 동작에서 요구되는 체형과 체력 특성을 고려한 적극적인 저항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무용 역시 연습과 공연에서 항상 부상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부상예방을 위한 저항훈련의 효과는 많은 연구들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무용수의 부상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절한 저항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연구와 학습으로 플레이를 바꿉니다. -by 월간 스포츠의과학-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평생학습 무한연구를 실천하는 월간스포츠의과학이었습니다.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