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스트링 부상예방과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골반 전방경사와 햄스트링 부상 저항훈련이 무용수의 근력, 파워와 무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햄스트링은 좌골 결절에 붙어 있기 때문에 골반 안정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햄스트링 부상은 일반적으로 육상 및 축구와 같이 스프린트 질주가 요구되는 스포츠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골반의 전방경사가 햄스트링 부상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햄스트링은 러닝 시 발을 크게 내딛는 동작에서 신장성 수축으로 스트레칭되며, 골반 전방경사는 골반의 위치와 달리기 동작 시 전해지는 물리적 충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6주의 중재 프로그램이 보행 중 전방 골반 경사의 변화와 햄스트링 유연성 및 몸통 지구력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연구방법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골격계의 문제가 없는 35명의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군(n=15)과 비교군(n=20)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총 18회, 45분의 운동(6주간, 주 3회)에 참여시키고 비교군은 별도의 처치없이 일상적인 활동을 계속하게 했습니다. 실험군은 점증적으로 난이도와 운동강도를 증가시켰습니다. 💡실험군에게 적용된 중재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자세한 내용은 원문(위의 원저를 소개한 박스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측정변인
🛠 연구결과 보행 중 골반 전방경사각의 유의한 감소 , 햄스트링 유연성, 몸통 지구력 검사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6주 프로그램 후 현저한 향상이 관찰되었습니다.
📝 Take field message 📝 🙂 골반의 전방경사는 허리주변 근육의 단축을 유도하여 요틍을 유발할 수 있고 햄스트링 부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햄스트링 부상예방을 위해 골반위치, 햄스트링 유연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 전방으로 기울어진 골반의 경사를 회복하기 위해 후방경사를 유도하는 코어근육 강화운동과 함께 데드리프트, 브리지 등 둔부와 햄스트링 강화를 위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연구와 학습으로 플레이를 바꿉니다. -by 월간 스포츠의과학-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평생학습 무한연구를 실천하는 월간스포츠의과학이었습니다.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