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어진 전방십자인대를 이식건으로 연결한 수술 후 코어근력은? ACL 재건술과 코어근력 👨🎓연구목적 전방십자인대(ACL) 손상은 가장 흔한 무릎 부상으로 수술적인 치료가 고려되기도 합니다. 이식건으로 끊어진 전방십자인대를 이어주는 ACL재건술(ACLR; Reconstruction)을 받은 선수에서 2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재부상률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재부상 방지를 위해 무릎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편, 흔히 코어라고도 불리우며 인체 중심부에 해당되는 체간(trunk) 근력은 운동수행과 부상예방에 높은 관련성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ACLR 수술 유무에 따른 체간근력을 비교하는 것이었습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ACLR을 시행한지 1년 이상 경과한 20명(남성: 3명, 여성: 17명)의 실험집단과 이들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비교집단 20명 측정과 분석: 몸통 굴곡근, 신전근 및 측면근의 정적인 자세유지 능력을 통해 지구력을 테스트하는 McGill 몸통 지구력 검사(McGill torso test)를 수행했습니다. 자세한 측정방법은 아래의 유튜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처리는 0.05의 알파 수준, Mann-Whitney U 테스트로 그룹 간 평균값 비교. 🛠 연구결과 평균적으로 ACLR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자세유지시간이 더 짧았으며, 특히 몸통 신전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Take field message 📝 🤦 인체는 사슬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임을 각 분절로 전달하며 힘을 생성합니다. 이때 몸통 중심부를 일컫는 일명 코어(core) 부위는 파워존(power zone)으로 간주되며 거의 대부분 동작에 발전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본 연구의 중요한 메세지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과정에 관여하는 전문가는 재부상의 잠재적인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간 부위 강화 운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몸통 신전근의 지구력강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겠습니다. 🙋 McGill torso test는 ACLR 수술 환자의 복귀를 위한 기능적 평가항목으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자가슬건(반건양건과 박건)을 이식한 경우 지속적인 무릎 굴곡근 약화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몸통 신전근 테스트 제한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 연구와 학습으로 플레이를 바꿉니다. -by 월간 스포츠의과학-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평생학습 무한연구를 실천하는 월간스포츠의과학이었습니다.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