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eng, M., Tian, Y., Ye, Q., Li, J., Xie, L., & Ding, F. (2025).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ix exercise interventions for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6, 433. https://doi.org/10.1186/s12891-025-08658-0 |
|
|
🧐 WHY
-
요통은 가장 흔하게 겪는 근골격계 문제 중 하나다.
-
통증 자체만으로도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장기화될 경우 일상 기능 저하, 의료비 증가, 작업 손실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
운동은 요통 치료에서 기본으로 권장되는 비약물적 치료 방법이지만, 어떤 종류의 운동이 가장 효과적인지,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여전히 모호하다.
-
이 논문은 다양한 운동 치료법들을 비교해 실제 요통 완화에 어떤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지 종합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
|
🔬 How
-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등 국제 의학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42편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무작위로 참가자를 나누고,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를 분석 대상으로 총 6가지 운동을 비교했다.
-
코어 안정성 운동
-
태극권
-
수중 운동
-
요가
-
슬링 운동
-
복합 훈련
-
각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통증 및 기능 평가 지표를 정리한 뒤, 운동의 종류, 세션당 시간, 주당 시행 횟수, 전체 치료 기간 등 8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하위 그룹 분석을 진행했다.
|
|
|
📉 WHAT
-
모든 운동이 요통 완화에 효과가 있었지만, 가장 효과가 컸던 건 요가였다.
-
통증 개선 효과를 수치화한 결과, 전체 운동의 평균 효과 크기(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는 -1.21로 나타났고, 요가는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효과(-1.97)를 보였다.
-
운동 시간, 빈도, 기간에 따른 차이도 뚜렷했다.
-
한 번에 30분 이하로
-
주 4회 이상 실시하고
-
총 기간은 4주 이하일 때
가장 큰 통증 완화 효과가 있었다.
기능 회복 측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 장애 지표인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점수가 가장 크게 개선된 운동은 요가였다.
|
|
|
🎯 Take field message
- 요가는 근육의 유연성과 중심 안정성(core stability)을 동시에 자극하면서, 요통 억제에 효과적인 운동이다.
- '짧게 자주’ 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짧은 시간에 자주 반복하는 방식이 오랜 시간 운동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낸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바쁜 현대인에게도 현실적인 접근 방식이다.
- 4주 이내의 단기 집중 프로그램은 순응도를 높이는데도 효과적이다.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계간선수] official@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