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WI 효과는 실제일까, 아니면 믿음일까?
|
|
|
📖 Nasser, N., Zorgati, H., Chtourou, H., & Guimard, A. (2023). Cold water immersion after a soccer match: Does the placebo effect occur?. Frontiers in physiology, 14, 1062398. https://doi.org/10.3389/fphys.2023.1062398 |
|
|
🔍 WHY
-
선수들이 근손상과 피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냉수욕(cold water immersion, CWI)이 있다.
-
CWI는 회복 방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그 효과가 실제 생리학적 회복 때문인지, 아니면 선수들이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플라시보 효과인지 모호하다.
-
본 연구는 CWI와 가짜 회복 처치(플라시보)를 직접 비교하여, 실제 효과인지 아니면 믿음에 기반한 심리적 효과인지를 분석했다.
|
|
|
🧪 HOW
-
연구대상: 세미프로 축구선수 12명(매주 6회의 훈련과 1회의 정규 경기 소화)
-
연구는 4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모든 선수는 3가지 회복 조건(CWI, 플라시보, 수동적 휴식)을 무작위 교차 방식으로 모두 경험
-
축구 경기의 움직임 패턴을 모사한 Loughborough Intermittent Shuttle Test(LIST; 방향 전환, 스프린트, 감속과 가속 등 축구 고유의 간헐적 고강도 움직임 포함) 실시
-
회복 조건
-
CWI: 11℃ 물에 15분간 앉아 휴식(흉부까지 담금)
-
플라시보: 회복 음료라고 속인 과일맛 음료를 제공하고 15분 휴식
-
수동적 회복(Rest): 따뜻한 실내에서 아무런 처치 없이 15분 휴식
-
측정 항목: 생화학적 마커(CK, CRP, 요산), 근육통, 점프 능력(SJ, CMJ), 스프린트, 반복 질주, 주관적 기대감 등으로 구성
|
|
|
📈 WHAT
-
CWI와 플라시보는 수동적 회복보다 명확히 회복 효과가 뛰어났다. → 근육통 감소, 점프 및 반복 질주 능력 회복, 염증 마커 안정 등에서 우위
-
하지만 CWI와 플라시보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실제 생리적 회복 효과는 불분명
-
점프(SJ, CMJ)와 반복 질주(RSA)에서 CWI와 플라시보가 회복을 촉진했다. → 반면, 10m·20m 스프린트는 24시간 이내 자연 회복되어 조건 간 차이가 없음
-
염증 및 근손상 마커(CK, CRP)는 CWI에서도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 CWI의 생리적 효과는 제한적이며, 플라시보 효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
플라시보 조건에서도 주관적 회복 기대감이 높게 유지됐다. → 기대감 조성이 효과적으로 작동
|
|
|
🎯 Take field message
-
냉수욕 효과는 생리적 기전보다는 '믿음'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
회복 전략은 '설득력 있는 설명과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
평가 및 연구 설계 시 반드시 플라시보 조건을 포함시켜야 한다
-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이 조건을 배제하여, 회복 전략의 효과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
향후 스포츠 트레이닝, 회복 프로그램 설계 시 플라시보 기반 접근이 필요하다.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계간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