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baliauskas, S., Gražulis, D., Žilinskienė, N., & Kaukėnas, T. (2025). Metacognitive strategies improve self-regulation skills in expert sports coaches. Scientific reports, 15(1), 3434. https://doi.org/10.1038/s41598-025-86606-7 |
|
|
📖 Why
-
스포츠에서 성공적인 코칭은 단순한 기술 지도뿐만 아니라, 지도자의 자기 조절 능력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자기 조절 능력은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을 세우며,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전략을 수정하는 과정이다.
-
이 연구는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지도자의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했다.
|
|
|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내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생각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공부할 때 "나는 이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으니 다시 복습해야겠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메타인지의 한 예다.
스포츠 코칭에서는 지도자가 자신의 지도 방식이 효과적인지 스스로 평가하고, 필요하면 전략을 바꾸는 능력이 중요한데, 메타인지 전략이 이를 돕는다. 즉,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코칭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핵심이다. |
|
|
🚿 How
-
이 연구는 9명의 전문 스포츠 지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메타인지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코칭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 조절 능력의 변화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했다.
|
|
|
📌 Take field message
-
지도자는 선수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론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경험에만 의존한 지도는 한계가 있고, 새로움만 쫓는 지도는 공허함을 유발할 수 있다.
-
지도자는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자신의 지도 방법을 통찰하고, 현재 자신의 강점과 보완점은 무엇인지 탐색한 후 강점은 강화하고 보완점은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
지도자의 이런 태도는 지도력 강화는 물론 선수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된다.
-
스포츠 코칭은 단순한 기술 교육이 아니라, 코치 자신의 사고 방식과 학습 전략을 조정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
메타인지 전략을 적용하여 자기 조절 능력을 극대화하자.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