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htenstein, E., Held, S., Rappelt, L. et al. Agility training to integratively promote neuromuscular, cardiorespiratory and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a one-year randomized-controlled trial. Eur Rev Aging Phys Act 20, 21 (2023). https://doi.org/10.1186/s11556-023-00331-6
📖 Why
민첩성은 신체 균형과 협응력을 유지하면서 자극에 반응하여 속도, 방향, 신체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하는 능력이다.
근력, 협응력, 반응 속도, 유연성 등이 결합된 복합적인 움직임이다,
다양한 스포츠와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엘리트 선수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 How
평균연령 70.8세인 79명의 건강한 노인
민첩성 훈련 그룹과 운동하지 않은 대조군에 무작위 배정
민첩성 트레이닝(60분)
- 10분 웜업 + 45분 훈련 + 5분 쿨다운
- 방향전환, 균형운동 등이 포함된 스테이션을 순환하며 반복
- 난이도 점증 증가
측정
- 근력
- 순발력
- 균형능력
- 멀티태스킹 조건에서의 보행 속도
- 유산소 체력
- 인지 능력
🏃♂️What
보행 매개변수가 크게 개선
근력과 순발력 눈에 띄게 향상
균형능력 개선
인지 능력 개선
민첩성 훈련이 건강한 노인의 보행 능력, 하지 근력, 균형 및 특정 인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고 노인 건강과 체력을 개선하기 위한 종합적인 운동으로 제안될 수 있다.
📌 Take field message
민첩성 훈련이 노인의 신체적, 기능적, 인지적 건강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운동으로도 효과가 입증되었다.
걸음걸이, 균형, 하지 근력을 향상시켜 활력을 높이고 낙상 위험을 줄이며,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민첩성 운동을 잘 설계하면 시간을 줄이고 흥미로운 개인 맞춤형 운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센터, 체육관, 고령자 시설 등에서 운동 프로그램으로서 노인의 전반적인 웰빙과 건강 노화를 실천하는 훌륭한 전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