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azaei, L., Parnow, A., & Amani-Shalamzari, S. (2023). Compar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resistance training and functional training on the bio-motor capacities of female elite taekwondo athletes. BMC sports science, medicine & rehabilitation, 15(1), 139. https://doi.org/10.1186/s13102-023-00754-9
📖 Why
태권도는 고강도의 신체 활동을 요구하는 스포츠로, 선수들의 체력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트레이닝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저항훈련(resistance training)과 기능적 훈련(functional training)은 태권도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 중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여성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훈련 방식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How
연구는 여성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전통적인 저항훈련과 기능적 훈련을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각 그룹은 정해진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했으며, 사전 및 사후 테스트를 통해 근력, 스피드, 민첩성, 균형, 유연성 등의 생체-운동 능력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가지 훈련 방법이 선수들의 신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What
연구 결과, 두 훈련 방법 모두 선수들의 신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특정 요소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전통적인 저항훈련은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은 저항 운동이 근육 발달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기능적 훈련은 민첩성, 균형, 그리고 태권도와 관련된 특정 움직임 패턴 개선에 더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능적 훈련이 전신 협응력과 실전 경기에서 필요한 다방향 움직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 Take field message
태권도 선수들의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를 위한 시사점
근력과 근지구력을 강화하고자 한다면, 전통적인 저항훈련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경기 중 민첩성, 균형, 실전 적용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기능적 훈련을 중점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두 훈련 방식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최적의 접근법이 될 수 있으며, 개인별 약점과 목표에 따라 맞춤형 훈련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