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ora, C., Singh, P., & Varghese, V. (2021). Biomechanics of core musculature on upper extremity performance in basketball players.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7, 127–133. https://doi.org/10.1016/j.jbmt.2021.02.023
- Pheasey, C., O'Brien, T. J., Sharpe, L., & Goosey-Tolfrey, V. L. (2024). Infographic. Enhancing performance and stability: the role of abdominal binding in wheelchair rugb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bjsports-2024-108485.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136/bjsports-2024-108485
- Wadsworth, B. M., Haines, T. P., Cornwell, P. L., & Paratz, J. D. (2009). Abdominal binder use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inal cord, 47(4), 274–285. https://doi.org/10.1038/sc.2008.126
- West, C. R., Campbell, I. G., Goosey-Tolfrey, V. L., Mason, B. S., & Romer, L. M. (2014). Effects of abdominal binding on field-based exercise responses in Paralympic athlete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7(4), 351–355. https://doi.org/10.1016/j.jsams.2013.06.001
- West, C. R., Campbell, I. G., Shave, R. E., & Romer, L. M. (2012). Effects of abdominal binding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Respiratory physiology & neurobiology, 180(2-3), 275–282. https://doi.org/10.1016/j.resp.2011.12.003
- Geng, Y. U., Zhang, L., & Wu, X. (2022). Effects of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on Blood Perfusion and Work Ability of Muscles in Elite Para-alpine Skie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54(3), 489–496. https://doi.org/10.1249/MSS.0000000000002805
|
|
|
-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내복사근(internal oblique)과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은 코어 안정성(core stability)을 담당하는 주요 복부 근육으로, 흉추 신경(thoracic nerve) T7 이하의 지배를 받는다.
- 만약 T6 이상의 경추 또는 상위 흉추 수준에서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이 있다면 복부 근육의 마비로 코어 안정성이 상실될 수 있다.
|
|
|
📌 Take field message
-
때문에 사전에 복대에 적응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고 홍조, 발한, 시야 흐림, 두통, 급격한 혈압 상승 및 심박수 변동과 같은 증상이 유발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복대를 제거해야 하고, 복대 압력을 조절을 통해 적정 압력을 찾아야 한다.
[올바른 복대 착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 신축성 있는 소재 사용하기: 호흡 시 들숨에 복대도 함께 늘어나야 하고, 특히 호흡이 가빠지는 상황에서 복대가 적절한 신축성을 유지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옷 위에 착용하기: 복대가 피부에 직접 닿아 있는 경우 움직임에 따라 피부와 마찰되며 상처가 생길 수 있다. 복대를 착용하고 훈련이나 경기에 참여한 후에는 피부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적정 압력 찾기: 과도한 압박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압박이 약하다면 코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경기에 사용하기 전 훈련이나 연습경기를 통해 미리 착용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압력을 찾아야 한다.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를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