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k, H. S., Oh, J. K., Kim, J. Y., & Yoon, J. H. (2024). The Effect of Strength and Balance Training on Kinesiophobia, Ankle Instability, Function, and Performance in Elite Adolescent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Prospective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23(1), 593–602. https://doi.org/10.52082/jssm.2024.593 |
|
|
📖 Why
-
외측 발목 염좌(Lateral Ankle Sprain)는 가장 흔한 스포츠 손상의 하나로 특히 축구 선수들 사이에서 빈발한다.
-
손상 초기 단순 부상으로 여길 수 있으나, 반복적인 발생은 발목의 기계적 안정성을 저하시켜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으로 발전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관절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
발목부상의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 근력과 균형 훈련이 강조되고 있고 다양한 프로토콜이 제시되고 있다.
-
한편, 복귀 후에도 발목의 재사용에 대한 공포, 즉 운동공포증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운동공포증은 부상 부위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이나 예상되는 통증으로 발생하고, 운동 중 근력과 자세의 제어 능력을 저하시켜 추가 부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이 연구는 발목 근력 및 균형 훈련이 운동공포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함께 발목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
|
|
🚿 How
-
이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엘리트 청소년 남성 축구 선수 5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시험을 실시했다.
-
참가자들은 근력훈련그룹(SG), 균형훈련 그룹(BG), 그리고 대조 그룹(CG)으로 분류되었다.
-
SG와 BG는 6주 동안 주 3회 근력 및 균형 훈련 세션을 시행하였으며, CG는 팀내 자체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했다.
-
주요 결과 지표로는 운동공포증과 발목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운동공포증 척도(Tampa scale for kinesiophobia-17, TSK)와 발목 불안정성 도구(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점수가 사용되었다.
-
이차적 결과 지표로 발목 근력(4가지 방향), 동적 균형, 정적 균형(타원, 변위, 속도) 및 성능(figure-8 및 사이드-홉 테스트)이 평가되었다.
|
|
|
🏃♂️What
-
이 연구에서는 치료 후 운동공포증과 발목불안정성 점수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
사후 분석에서, 균형훈련그룹은 운동공포증 점수를 줄이는 데 있어 현저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근력훈련그룹과 균형훈련그룹은 발목 불안정성 점수에서 큰 개선을 보였다.
-
회귀 분석을 통해 발목 불안정성 점수의 심각도가 운동공포증과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
이차적 결과에서 근력운동그룹과 균형운동그룹은 발목 배측/저측 굴곡 근력, 정적 균형 변위, 그리고 figure-8 및 사이드-홉 테스트에서 우월한 성과를 보였다.
-
균형운동그룹은 정적 균형(타원)에서도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
따라서, 6주간 운동을 통해 운동공포증 관리, 발목 안정성, 그리고 성능 향상에 현저한 효과를 가져왔다.
-
균형훈련은 근력훈련만 할 때보다 운동공포증을 완화하고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
발목불안정성 점수의 작은 변화도 운동공포증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이는 균형 훈련의 잠재적 이점을 강조한다.
-
훈련 프로그램에 균형 훈련을 포함시키면 발목 불안정성의 신체적 및 심리적 측면 모두에서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
|
|
📌 Take field message
-
근력 및 균형 훈련을 정기적으로 포함시켜 발목 안정성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훈련은 발목 부상을 예방하고, 만약 부상이 발생했을 때 빠른 회복을 돕는다.
-
운동공포증은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 전념하는 데 있어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심리적 요소를 관리하고, 운동 중 불안감을 줄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선수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다.
- 선수마다 다른 신체적, 심리적 요구를 가지고 있으므로, 재활 프로그램은 개인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회복과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