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gnini, F., Barbiani, D., Grosso, F., Cavalera, C., Volpato, E., Minazzi, G. A., ... & Phillips, D. (2024). Enacting the mind/body connection: the role of self-induced placebo mechanism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11(1), 1-10. https://doi.org/10.1057/s41599-024-03492-6.
🚿 Main results
플라시보(placebo) 효과는 치료 효과가 없는 약을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사용하여 증상이 호전되는 현상이다.
개인의 신념, 이미지, 주의 등의 의식적 과정은 플라시보 효과를 유발하거나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플라시보 효과는 개인적 반응이기 때문에 다음의 세 원칙을 주목하면 스스로 플라시보 효과를 유발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첫째, 이미지 기법을 통해 마음을 시각화한다. 이미지를 생생하게 떠올리는 작업은 말하는 것보다 감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생각으로 연결되어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 생각과 감각을 총동원해 신체에 주의를 집중한다, 이를 위해 감각정보를 총동원하여 신체 감각(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에 주의를 높인다. 예를 들어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는 동안 개인의 컨디션이나 각성에 주의를 기울여 에너지와 관련된 신체 감각을 구체적으로 느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