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urley, P., Klingner, F., & Memmert, D. (2021). Nonverbal pre-performance expressions of professional darts players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poor performance. Scientific Reports, 11(1), 20147. https://doi.org/10.1038/s41598-021-99729-4.
😎 Why
타인의 행동을 예측할 때 비언어적 행동은 중요한 단서이다.
비언어적 행동은 의사소통의 양념이며 여러 의미를 내포한다.
선수의 심리상태는 비언어적 행동인 표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비언어적 행동은 경기력을 설명하는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프로 다트 선수의 경기력과 관련한 경기 전 비언어적 단서를 탐색했다.
🙋♀️How
2017 세계 다트 챔피언십 경기의 940경기의 비디오를 재료로 했다.
선수 표정은 Noldus FaceReader를 사용한 Active Appearance Modeling으로 분석했다.
수집한 자료는 t-test, 스피어만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처리했다.
👩💻 What
저조한 경기력을 보인 선수는 우수한 경기력을 나타낸 선수보다 더 슬프고 두려운 표정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고 생리적 각성이 더 두드러졌다.
특히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우수한 경기력을 보인 선수가 저조한 경기력을 보인 선수에 비해 준비 시간이 더 길었다는 것이다.
슬픔, 불안, 각성 등의 기분상태는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기 전 준비 시간이 짧을수록 저조한 성과를 보이는 것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자신의 정서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 한 채로 경기에 들어갔을 개연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심리적 불안정성이 얼굴 표정으로 표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선수의 비언어적 단서는 개인의 심리상태와 연관되며,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행동할 것인가, 나아가 경기 운영에 대한 정보와도 관련이 있다.
📌 Take field message
포커 페이스(poker face: 아무것도 드러내지 않도록 무표정한 얼굴)를 하는 것은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상대와의 심리전에서 우위를 얻기 위한 전략이다.
인간은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가 다를 경우 비언어적 메시지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파이팅을 연신 외치지만 긴장한 기색이 역력하면 상대는 내가 긴장했다고 인식하고, 경기에 자신없다고 이야기하지만 표정과 자세에서 여유가 가득하면 상대는 나의 기세에 눌릴 것이다.
경기장에 여유있게 도착해서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차분하게 마음을 가라앉히며 시합에 대한 준비를 마쳐야 한다.
스포츠에서 심리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언어적 표현과 더불어 표정, 자세, 발성 등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전략도 필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