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현실(VR) 훈련이 엘리트 선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
|
-
Wilkerson, G. B., Fleming, L. R., Adams, V. P., Petty, R. J., Carlson, L. M., Hogg, J. A., & Acocello, S. N. (2024). Assessment and Training of Perceptual-Motor Function: Performance of College Wrestlers Associated with History of Concussion. Brain sciences, 14(1), 68. https://doi.org/10.3390/brainsci14010068
|
|
|
Why
-
뇌진탕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외상에 의해 뇌실질이 흔들리면서 발생하는 뇌 손상을 말한다.
-
주로 경기 승리을 위해 상대방의 행동에 빠르게 반응을 해야하는 종목인 럭비나 미식축구, 레슬링에서 많이 발생한다.
-
뇌진탕은 뇌의 정보 처리 능력에 미묘한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뇌진탕에 더 민감해지고 근골격계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운동선수의 기능적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안된 훈련 활동은 전통적으로 근력, 힘, 지구력, 유연성과 같은 신체적 특성 향상에 초점을 맞춰왔다.
-
빠르고 정확하게 일관된 운동 반응을 생성하는데 있어 뇌 처리 효율성이 중요하지만 운동 능력 향상이나 부상 예방을 위한 인지 훈련의 기대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다.
-
가상현실 훈련은 반복적인 운동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주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대학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각-운동기능의 변화를 분석했다.
|
|
|
How
-
남성 레슬링 선수 24명을 뇌진탕 경험 그룹(n=10)과 없는 그룹(n=14)로 구분
-
3주간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 전후, 지각-운동 능력, 지각 지연 시간과 반응 시간 측정
-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은 움직이는 시각 자극에 따라 목 회전, 팔 뻗기, 가상 반응 대상을 향해 시각 자극유형과 헤드셋 디스플레이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한 걸음씩 전진하는 다양한 동작 수행
-
각 세션당 20회씩 2세트로 구성, 3주간 매주 2회 실시
-
레슬링 선수들은 올바른 방향과 잘못된 방향의 움직임 반응을 시각과 청각으로 확인하며 피드백을 제공받았다.
|
|
|
What
-
훈련 전 평가: 뇌진탕 이력이 있는 레슬러들은 지각 지연 시간과 반응 시간에서 더 큰 개인 내재적 변동성을 보여, 지각-운동 반응의 속도와 일관성에 비뇌진탕 그룹에 비해 손상으로 인향 영향이 있었다.
-
훈련 후 개선: 두 그룹 모두 가상현실 훈련 후 지각-운동 성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훈련은 지각 지연 시간과 반응 시간의 내재적 변동성을 줄였고, 변동성 지표 6개 중 5개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
|
|
Take field message
- 가상현실 기술은 다양한 스포츠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뇌진탕과 같은 머리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또한 부상 선수들이 실제 훈련과 경기를 대신할 수 있는 몰입감 있는 훈련 환경을 제공하여 스포츠 감각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
가상현실 훈련은 운동선수들이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 속도, 정확도, 일관성을 향상시켜 빠르고 정확한 동작이 필요한 스포츠에 매우 유용하다.
-
따라서 운동선수들에게 가상현실 훈련이 운동선수들에게 즉각적인 피드백과 맞춤형 인지 훈련, 지각과 운동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