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rì, G., Megna, M., Ranieri, M., Agostini, F., Ricci, V., Bianchi, F. P., Rizzo, L., Farì, E., Tognolo, L., Bonavolontà, V., Fiore, P., & Reis, V. M. (2022). Could the Improvement of Supraspinatus Muscle Activity Speed up Shoulder Pain Rehabilitation Outcomes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 255. https://doi.org/10.3390/ijerph20010255
|
|
|
Why
- 휠체어농구 선수는 반복적인 던지기와 휠체어를 사용한 역동적인 가속 및 감속 등으로 어깨 관절에 많은 스트레스가 축적된다.
- 휠체어 농구 선수들의 75%가 어깨 통증을 경험하며, 주된 원인은 회전근개 건병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 회전근개의 기능이 약화될 때 다른 근육들을 활성시켜 안정성을 보상하려 한다. 때문에 저항 운동 시 보상작용을 최소화하며 회전근개를 적절하게 활성시킬 수 있어야 한다.
- 근전도를 사용하여 근육의 활성을 직접 확인하는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을 사용한다면 이러한 보상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 통증이 있는 휠체어 농구 선수들의 어깨 재활프로그램 중 근전도를 사용한 바이오피드백이 재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
|
|
How
-
회전근개 건병증을 진단받고 어깨 통증이 있는 33명의 휠체어 농구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모두 같은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표면 근전도(sEMG)를 사용한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으로 나뉘었다.
-
두 그룹 모두 4주간 주 2회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운동의 볼륨과 강도는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각 개인에 맞게 조정되었다.
-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은 어깨 주변부 근육(특히, 회전근개)의 스트레칭과 탄성 밴드를 사용한 근력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
바이오피드백 그룹은 운동을 하는 동안 극상근의 근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다.
-
모든 참가자들은 실험에 참여하기 전후로 어깨 통증 지수, 극상근의 근전도, 어깨 외전 및 외회전 ROM을 측정하였다.
|
|
|
What
-
두 그룹 모두 운동 전과 비교하여 극상근의 활성도(EMG)와 어깨의 ROM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그룹 간 차이에서는 바이오피드백 그룹이 유의하게 더 많은 증가를 보여주었다.
-
어깨 통증 지수는 두 그룹 모두 개선되었지만, 바이오피드백 그룹에서 더 많은 개선이 나타났다.
-
이상의 결과는 재활 시 극상근에 적용된 근전도 기반 바이오피드백이 근 활성도를 더욱 증가시키고, 또한 어깨 관절의 기능 및 통증의 더욱 빠른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
|
Take field message
-
휠체어 선수들의 운동은 대부분 어깨를 사용하며, 일상생활에서도 빈번하게 어깨에 높은 부하가 발생되는 동작들을 수행한다. 때문에 흔히 어깨 관절을 과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어깨 관절의 올바른 생체역학을 가지고 이를 강화한다면 어깨 관절에 부과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같은 움직임을 수행하더라도 근육의 활성 패턴은 다를 수 있다. 주동근과 협력근은 각자 정확한 타이밍에 적당한 힘을 발휘하여야 한다. 만약 특정 근육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한다면 주변부의 근육이 이를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다. 근전도는 이러한 근육 활성의 불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이다.
-
과거 근전도 기술은 바늘을 사용한 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주로 실험실이나 의료시설에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비침습적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면 근전도가 상용화되고 있다.
-
이번 연구에서는 극상근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되었지만, 이를 응용하여 다른 부위의 운동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y 장애인 국가대표 조정팀 양정훈 |
|
|
매주 주목할만한 스포츠의과학 연구 한편을 정리하여 보내드립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 admin@athletes.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62155321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