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E W S L E T T E R
5월 세 번째 뉴스레터 by 임송이 대표(임송이 멘탈코칭연구소) |
|
|
운동선수의 가치관 형성
King, A. M., Turner, M. J., Plateau, C. R., & Barker, J. B. (2023). The socialisation of athlete irrational beliefs.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41(2), 290-313. https://doi.org/10.1007/s10942-022-00460-4 |
|
|
Why
- 운동선수는 경기력 향상을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 하지만 경기력 향상을 위한 극단적이고 비논리적인 규칙을 만들어 자신과 타인에게 적용하기도 한다.
- 예를 들어, “나는 이번 시합에서 반드시 메달을 따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실패자이다.” 와 같은 생각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으로, 비현실적이고 비논리적이며 강직된 신념이다.
- 스포츠는 경쟁이 수반되고, 타인의 인정을 필요로 하는 환경이기 때문에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이 강화되고 유지되기 쉽다.
- 이와 더불어 선수는 훈련과 시합에서 지도자, 부모,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데, 주변 타인과 상호작용은 선수 신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 이처럼 스포츠의 환경적 특성과 선수의 특성은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 형성에 기여한다, 하지만 운동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은 장기적으로 선수로서의 성장과 개인의 심리적 평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은 합리적 신념으로 교정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환경적 요인이 비합리적 신념의 형성, 유지,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비합리적 신념 교정 지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
What
비합리적 신념의 환경적 요인
- 부모 가정환경은 개인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부모의 자녀 또한 높은 비합리적 신념을 보임에 따라 부모의 비합리적 신념이 아이의 비합리적 신념을 형성시키고 강화한다.
- 특히, 자녀의 경기력 수준이 곧 자신의 가치로 인정하는 부모는 “내 아이가 운동선수로 성공하지 못한다면 나는 실패한 부모다.”라는 비합리적 신념이 내제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이러한 부모의 영향을 받은 자녀는 부모의 애정을 받기 위하여 “반드시 이겨야 해” 라는 비합리적 신념이 강화될 수 있다.
- 체육 수업에서 경쟁과 우위를 강조하는 분위기는 학생의 부정적인 생각, 걱정과 관련있다. 성과를 보인 학생만 칭찬하고 관심을 갖는 태도는 승리만 중요하다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고, 이는 선생님의 관심을 받기 위하여 “친구들보다 반드시 더 잘해야 한다.”는 비합리적 신념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청소년기로 접어들며 집 밖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 교우관계는 타인이 자신을 좋아하고 자신이 사회적으로 수용받는 정도를 인식하게 되어 청소년기에 중요한 목표이다. 이 과정에서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에 따라 친구로부터 자신을 인정받기 위하여 타인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비합리적 신념이 강화될 수 있다.
스포츠환경
- 스포츠에서는 승리를 지향하므로 선수, 지도자, 관계자 등은 “반드시 이겨야 한다.”,
“후반전에는 반드시 잘 해야 한다.”와 같은 말을 빈번히 사용한다.
-
언어적 메시지는 선수에게 내재되고, 결국 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으로 강화되어 개인 및 팀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이외에 미디어, 팬, 스포츠 이해관계자, 스폰서, 등의 반응 또한 승리만이 가치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강화하여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의 비합리적 신념을 강화할 수 있다.
-
따라서 선수를 둘러싼 환경적 요인은 선수의 비합리적 신념 형성, 유지, 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비합리적 신념은 선수의 심리적 안정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스포츠를 통한 웰빙과 경기력의 유지를 위하여 합리적 신념으로의 교정이 필요하다.
실천 사항
- 자신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은 자신의 믿음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자신의 심리적 웰빙을 위하여 행동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감을 갖는다.
- 비합리적이고 부정확한 의미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의미를 물어보고 정확히 파악한다. 불분명하고 추상적인 언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부정적인 사고를 줄일 수 있다.
- 좌절이나 역경에 놓였을 때, 극단적이지 않고 논리적이며 이성적인 행동과 언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경기에서 패한 후 “그래. 이 결과는 아쉽지만 세상이 끝나는 건 아니야.” 라고 이야기하며 이와 일치되는 행동을 한다.
- 선수의 비합리적 신념 수준을 측정하고, 이에 맞는 체계적인 REBT(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를 적용한다.
- 언론, 구단, 스폰서 등에서 관심을 전환하여 선수의 노력, 가치, 윤리 등을 홍보하고 보상한다.
|
|
|
Take field messages
- 운동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은 선수의 정신력 강화요인으로 많이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사기와 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신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선수는 오직 승리만 가치있다고 인식하게 되고, 여러 부정적인 생각이 꼬리를 물고 나타날 수 있다.
- 선수와 지도자, 그리고 주변 관계인은 선수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 스포츠에서 과정만 중요시 할 수 없다. 결과 역시 중요하다. 이 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 선수 성장에 미칠 영향과 한 인격체로서 삶에 대한 건강한 태도를 고려한다면 건강한 선수, 건강한 스포츠에 한 걸음 가까워지지 않을까?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admin@athletes.co.kr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62155321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