Čobec, Jerneja, and Žiga Kozinc. 2022. "Conservative Treatments for Patellar Tendinopathy: A Review of Recent High-Quality Evidence" *BioMed* 2, no. 4: 359-375. https://doi.org/10.3390/biomed2040028
Why
슬개건병증(Patellotendinopathy), 일명 Jumper's knee는 슬개건의 과도한 사용으로 무릎 앞쪽에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30세 전후의 활동적인 젊은이와 농구, 배구, 그리고 축구 선수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엘리트 운동선수 중 14.2%가 이를 경험하고, 청소년 선수중에는 아킬레스건 병증보다 3배 더 발생빈도가 높다.
슬개건은 반복적인 점프, 착지, 회전 동작으로 인해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한다. 이 활동이 과도하게 반복되면 힘줄에 기계적 변화를 초래한다.
슬개건병증의 발생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반복적인 작은 스트레스 손상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관리를 위해 무릎 기능 장애와 통증 정량화를 위해 VISA-P 점수를 사용하여 증상, 기능 검사 및 스포츠 활동 능력을 평가한다.
슬개건병증의 치료에는 다양한 중재가 존재하지만, 현재 그 효과에 대한 일관된 합의는 없다.
본 리뷰는 최신 근거를 바탕으로 여러 치료 효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How
이 연구는 슬개건염의 보존적 치료법에 대한 최신 높은 수준의 근거를 검토하기 위해 체계적인 검색을 실시했다.
PubMed 데이터베이스 및 관련 리뷰의 참고문헌 목록에서 무작위 대조 시험을 포함하여 연구를 선별했으며, 연구 질문을 정의하기 위해 PICOS(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ator, Outcomes, Study design) 전략을 사용했다.
의학 및 수술적 치료를 비교하는 연구와 물리치료가 아닌 다른 병리에 관한 연구는 제외했다.
선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치료 효과를 비교한 14개 연구가 선정되었다.
What
연구 결과, 편심성 운동(Eccentric exercise)과 같은 운동 치료가 슬개건병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났으며, 특히 통증 감소와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체외충격파 치료, 드라이 니들링 및 교정기 사용 등 다른 치료 방법들도 일부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연구는 슬개건염 치료를 위한 다양한 보존적 치료 방법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환자 개개인에 맞는 치료 계획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ake field messages
슬개건염 치료에 관한 연구 논의와 결론을 바탕으로, 현장에서는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편심성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운동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체외충격파 치료나 드라이 니들링과 같은 추가적인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편심성 운동은 힘줄 강도를 증가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며, 기능적 회복을 돕는다. 또한, 편심성 운동은 슬개건의 구조와 기능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통증과 기능 회복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치료 방법을 지속적으로 조정 적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