셩격 특성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Zar, A., Reza, S. H., Ahmadi, F., Nikolaidis, P. T., Safari, M. A., Keshazarz, M. H., & Ramsbottom, R. (2022).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ports Performance among Disabled Athlete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22, 8072824. https://doi.org/10.1155/2022/8072824 |
|
|
Why
- 성격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각, 감정, 행동을 나타내는 심리적 특성이다.
- 인간은 각자 특유의 성격으로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어울리며 세상과 소통한다.
- 성격은 직업과 취미를 결정할 뿐 아니라 주말에 무엇을 할지, 누군가를 싫어하거나 좋아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친다.
- 이처럼 성격은 인간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스포츠도 성격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다.
- 이번 연구는 장애인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격 특성과 대회 성적 간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
|
|
How
- 팀 스포츠 장애인 선수 37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 모든 참가자는 21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성격 특성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 설문을 통해 조사된 성격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 새로운 경험에 대한 호기심과 창의성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활동에 열려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 신경성 (Neuroticism) : 불안한 감정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성으로 높은 신경성을 가진 사람들은 불안, 우울, 분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자주 경험한다.
- 친화성 (Agreeableness) : 타인과의 협력, 신뢰, 친절함 등을 나타내며, 친화성이 높은 사람들은 더 이타적이고 동정심이 많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 외향성 (Extraversion) : 사회성, 활동성, 적극성 등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더 활동적이고 사교적이며, 교류를 통해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경험한다.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계획성, 조직성, 책임감, 성실함 등의 특성을 포함하며 성실성이 높은 사람들은 일과 목표에 대해 더 체계적이고 진지하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조사된 성격특성과 대회 성적(순위)을 비교하였다.
|
|
|
What
- 5가지의 모든 성격 특성들은 선수들의 대회 성적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방성 : 개방성이 높을수록 국내의 전국 수준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 친화성 : 친화성은 국내의 지역 및 전국 수준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친화성은 팀 기반의 스포츠 경기에서 동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도움을 주어 팀의 승리에 기여할 수 있다.
- 신경성 : 신경성이 높은 선수들은 국내 및 국제 대회 모두에서 더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선수들은 경기 중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을 더 잘 관리하고, 이를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외향성 : 외향성이 높은 선수들도 국내 및 국제 대회 모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팀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팀 스포츠 경기에서 외향적인 성격이 더 좋은 기량을 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성실성 : 성실성이 높은 선수들 또한 국내 및 국제 대회 모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훈련과 경기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더 체계적이고 집중적이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
Take fields message
-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성격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도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선수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이 연구는 팀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 개인 종목 선수는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 모든 성격 특성이 무조건 적으로 높을수록 좋은 성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각 성격 특성이 특정 스포츠 환경이나 상황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 자신의 성격 특성이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우수한 선수가 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 성격의 유형이 개인의 전체적인 가치나 능력을 결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서는 이러한 성격 유형들이 더 불리할 수도 있고 유리할 수도 있다.
- 만약 자신이 이러한 특성에 맞지 않는다면, 이는 자신만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일 뿐이다.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장점을 탐색하며, 성장을 위한 기회로 삼아보자.
|
|
|
오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팀 스포츠에서 좋은 성격이 경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 아닐까요?
다음 주에는 기다리시던 매거진 선수 봄호가 발행됩니다. 기대해 주세요!!!
이번 연구는 양정훈 선생님이 작성했습니다.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admin@athletes.co.kr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62155321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