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eck, J. L., & Parnell, J. A. (2021). Protein Considerations for Athletes With a Spinal Cord Injury. Frontiers in nutrition, 8, 652441. https://doi.org/10.3389/fnut.2021.652441
Introduction
운동선수에게 단백질 섭취는 근합성과 근력향상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여러 문헌에서 적정 단백질 섭취량과 고려사항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대부분 비장애인 운동선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SCI(spinal cord injury, 척수 손상) 선수를 위한 별도의 지침이 필요하다.
SCI 선수는 근육량이 적어 낮은 에너지 가용성을 보이고, 근위축에 따른 낮은 제지방량으로 인해 기초대사량도 낮다.
이외에도 신경인성 장기능 장애(neurogenic bowel dysfunction), 신경인성 방광 장애(neurogenic bladder) 및 상부 위장관 소화불량(upper gastrointestinal dyspepsia)과 같은 이차 합병증들은 단백질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SCI 선수의 단백질 섭취량 및 고려사항에 대해 서술하였다.
Main Results
일반적으로 SCI 선수는 하루에 체중 1kg 당 1.2g의 단백질 섭취(1.2g/kg/d)를 권장한다(예: 체중 60kg 선수라면 하루 권장 단백질 72g).
권장량은 신체 기능 및 생리적 변화, 합병증, 운동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단백질 섭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① 편측마비, 불완전 척수 손상 ② 욕창 ③ 위장관 이동 시간 지연 ④ 영양소 흡수 감소 ⑤ 영양실조 또는 칼로리 제한 ⑥ 높은 훈련량 및 강도 ⑦ 체중 감소, 근육량 유지, 근비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단백질 섭취량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① 사지마비, 완전 척수 손상 ② 신장질환 ③ 단백질 섭취로 인한 변비
👉동원할 수 있는 근육량이 적거나(사지마비, 완전 척수 손상), 훈련 강도 또는 훈련량이 적다면 총 에너지 소비량 또한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량은 줄이되 단백질 섭취량은 유지하여야 한다.
욕창이 있는 SCI 환자에게는 상처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최소 1.25g/kg의 단백질 섭취를 권장한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이 있는 경우 항콜린제(anticholinergic)를 처방받을 수 있다. 항콜린제는 위장관 운동성을 감소시키고, 음식과 약물의 상호작용으로 영양소 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신경인성 방광 관련 합병증은 식이 단백질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단백 식단은 신장질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고단백 식단을 고려하고 있다면, 방광과 신장 기능 검사를 포함한 건강 검진을 매년 받을 필요가 있다.
신경인성 장기능 장애와 장내 미생물 불균형의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섬유질 및 수분 공급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Take fields message
현재의 선행 연구만으로 SCI 선수의 단백질 섭취에 대한 완벽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는 쉽지 않지만 SCI 인구(비운동선수)와 비장애인 운동선수를 위한 권장 사항에서 이를 추정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g/kg/d를 일반적인 권장량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른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SCI 선수들은 본 연구를 기반으로 훈련량과 컨디션에 맞는 선수 개인의 최적 단백질 섭취량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