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재건술을 받지 않은 쪽을 운동하면? Karimijashni, M., Sarvestani, F. K., & Yoosefinejad, A. K. (2023). The Effect of Contralateral Knee Neuromuscular Exercises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Knee Function, and Pain in Athletes Who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32(5), 524–539. https://doi.org/10.1123/jsr.2021-0380 |
|
|
Introduction
-
ACL에는 다양한 기계수용체(mechanoreceptors)가 존재한다. 이들은 장력, 속력, 가속도, 움직임 방향, 무릎 관절 위치 등과 같은 고유수용성 감각 정보를 제공하여 신경근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ACL 재건술(ACLR) 후 신경근 조절 능력을 회복하는 것은 빠르고 안전한 스포츠 복귀와 재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달성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ACLR 후 반대쪽 무릎의 신경근 운동이 수술한 무릎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
|
Method
- ACLR을 받은 30명의 남성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들은 부상이 발생하기 전에는 일주일에 최소 주 2회 이상 스포츠(축구, 배구, 농구)에 참여했다.
- 대상자는 모두 수술 직후 같은 재활 프로그램에 참가했으며, 그중 15명은 신경근 운동 프로그램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 재활 프로그램은 수술 직후 총 8주 동안 주당 4회씩 진행되었다.
- 신경근 운동 프로그램
● 1주차: 안정된 표면(바닥)에서 눈을 뜨고 비수술 다리로 서서 30초간 균형 유지 ● 2주차: 같은 방법으로 눈을 감고 30초간 균형 유지 ● 안정된 표면(바닥)에서 비수술 다리로 서서 공과 세라밴드를 이용한 상지 운동 병행 예) 한발로 서서 여러 방향으로 공을 던지기, 세라밴드를 활용한 PNF, 미니 스쿼트 ● 3-4주 차: 불안정한 표면(balance foam pad)에서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에서 균형 유지 ● 5-8주차: 불안정한 표면(wobble board)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상지 운동 병행
- 모든 참여자는 재활 프로그램 전후로 균형 능력 및 관절 기능, 통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 테스트 실시
● SEBT(star excursion balance test) : 한 발(수술 측 다리)로 서서 8가지 방향(앞, 뒤, 양옆, 대각선)으로 최대한 멀리 뻗은 후 거리 측정 ● BESS(balance error scoring system) : 안정된 표면과 불안정한 표면에서 각각 3가지의 다른 자세로 측정되었다. 1) 양발로 서 있는 자세, 2) 수술한 다리로 서기, 3) 수술한 발의 뒤꿈치에 반대쪽 발을 닫게 한 자세 ● Stork balance stand test : 한 발(수술 측 다리)로 서서 뒤꿈치를 들고 균형 유지 ● Lysholm 설문지 : 계단 오르기, 쪼그려 앉기, 불안정, 통증, 부종, 무릎 잠김, 절뚝거림 등을 평가 ● VAS(visual analog scale) : 통증을 0~10까지의 수치로 표현
|
|
|
Results
- 신경근 운동을 추가한 그룹은 재활 프로그램 종료 후 SEBT, BESS(4가지 자세), Stork balance stand test, VAS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신경근 운동을 추가하지 않은 대조 그룹은 오직 BESS(안정된 표면의 한 발 서기)에서만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두 그룹 모두 Lysholm 설문 점수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 그룹 간의 차이에서는 대조 그룹과 비교하여 신경근 운동 그룹이 SEBT(전방, 후방, 후내측, 후외측), Stork balance stand test, BESS(안정·불안정한 표면에서의 한 발 서기, 발 앞뒤로 둔 자세), VAS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
|
|
오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신경근 운동과 교차훈련의 재활운동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유익한 정보로 또 찾아뵐게요!
작성자: 국가대표 장애인 조정팀 양정훈 트레이너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admin@athletes.co.kr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62155321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