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종류에 따른 섭취 효과는? Sharp, M. H., Lowery, R. P., Shields, K. A., Lane, J. R., Gray, J. L., Partl, J. M., Hayes, D. W., Wilson, G. J., Hollmer, C. A., Minivich, J. R., & Wilson, J. M. (2018). The Effects of Beef, Chicken, or Whey Protein After Workout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2(8), 2233–2242.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1936 |
|
|
Introduction
- 저항성 운동 후 단백질 섭취는 선행연구에서 모든 참가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이런 단백질의 섭취는 일반인과 비교 시 운동선수들에서 경기력과 근육 유지를 위해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175%에 이르는 더욱 많은 섭취가 요구되고 있다.
- 그러나 단백질 섭취는 단순히 필요에 따라 섭취하는 양을 조절하는 것 외에 재료의 종류와 질까지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존재한다.
- 다양한 연구에서는 식물성 단백질 식품과 비교 시 동물성 단백질이 저항성 운동 후 근 합성 및 비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 이는 여러 개의 필수아미노산 성분이 모두 포함된 동물성 단백질이 근단백질 개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대부분의 연구들이 말토덱스트린 및 식물성 단백질을 비교하였기에 위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으며, 다양한 동물성 단백질이 골격근 형성에 미치는 비교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8주간의 운동 중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동물성 단백질인 웨이 단백질(WPC), 소고기 정제 단백질(Beef), 닭고기 정제 단백질(CHx)의 섭취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또한 단백질 섭취 그룹과 비교를 위해 말토덱스트린 섭취 그룹을 통제그룹으로 포함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
|
|
Methods
- 실험은 41명(남자 19명, 여자 22명)의 건강한 성인(나이: 18-30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선발기준은 최소 2년 이상의 저항성 운동 경험이 있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대상자는 4개의 그룹으로 WPC(남자 5명, 여자 5명), Beef(남자 5명, 여자 5명), CHx(남자 5명, 여자 6명), 통제그룹(남자 4명, 여자 6명) 구분되어 실험에 참여하였다.
- 실험 진행은 검사 시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기 위해 실험 진행자와 참가자 모두 어떤 성분을 지급받는지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이중맹검법(double blind)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식사는 모든 그룹에서 탄수화물 50%, 지방 25%, 단백질 25%에 맞게 구성되었으며, 정규식 이외에 그룹에 따라 46g의 추가적인 보충제 섭취가 이루어졌다.
- 보충제는 운동 직후 섭취가 이루어졌으며, 운동이 없는 날에도 동일시간에 섭취가 되도록 구성되었다.
- 모든 참가자는 8주간의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저항성 운동은 월, 수요일 근비대, 금요일 최대근력의 형태로 주 3회가 진행되었다. 나머지 2회(화,목)는 사이클을 이용한 인터벌 트레이닝이 진행되었다.
- 최대근력(1RM) 및 파워측정(윈게이트 무산소성 파워, WIn)검사가 진행되었으며, 1RM의 경우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를 윈게이트는 10초간 최대 사이클 페달링 검사를 실시하였다.
- 추가적으로 혈액검사 및 회복상태검사(PRS), 위장관 증상 평가 척도(GSRS) 검사를 실시하였다.
|
|
|
Results
-
8주간의 처치에 따른 그룹 간 운동량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룹평균±표준편차: WPC=149,766±66,330 kg; Chx=155,664±58,100 kg; Beef=140,194±50,357 kg; Malto=136,472±53,379 kg)(p=0.865)
|
|
|
Take fields message
- 체중감량 또는 경기력 개선을 위한 단백질 섭취 전략은 많은 연구에서 거론되어져 왔다.
- 특히 체중 감량을 위한 탄수화물 섭취 제한은 근육량 감소를 유도하기 때문에 더욱 많은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게 된다.
- 경기력 개선을 위한 단백질 섭취 또한 정규식 이외에 많은 양의 추가 섭취가 요구된다.
- 본 연구에서도 근력 및 체성분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일일 46g의 단백질의 추가 섭취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이는 다른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것과 같이 단백질의 합성을 위한 최소한의 섭취 임계값을 제시하고 있다.
- 또한 단백질 보충제 섭취 중이거나 섭취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선택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백질 섭취량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써 성별 및 신체 조건에 맞는 구체적인 섭취량의 제시가 적용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단백질 종류에 따른 섭취효과! 궁금한 점이 해결되셨나요?
그럼 다음 주에도 유익한 정보로 또 찾아뵐게요!
이번 뉴스레터는 충청대학교 이광규 교수님께서 제공해주셨습니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