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단백질과 유청단백질의 섭취효과 비교 - 52번째 뉴스레터:콩단백질 vs 유청단백질 - Kritikos, S., Papanikolaou, K., Draganidis, D., Poulios, A., Georgakouli, K., Tsimeas, P., Tzatzakis, T., Batsilas, D., Batrakoulis, A., Deli, C. K., Chatzinikolaou, A., Mohr, M., Jamurtas, A. Z., & Fatouros, I. G. (2021). Effect of whey vs. soy protein supplementation on recovery kinetics following speed endurance training in competitive male soccer play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 /18/(1), 23. https://doi.org/10.1186/s12970-021-00420-w
- 축구는 급가속, 급정지 및 순간적인 방향전환 능력과 스피드를 갖춘 지구력이 필요합니다. 이들 움직임은 강한 원심성 운동요소를 갖고 있어 근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상된 근섬유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이 필요합니다. 선수들은 단백질 섭취를 위해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육류, 유제품 등 동물성 원료의 식품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최근 가축 사육에 따른 환경문제, 지구온난화, 육식에 대한 인식변화로 채식을 고려하는 선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본 연구는 식물성 재료인 콩단백질과 유청단백질이 트레이닝으로 손상된 근세포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 경력 4년 이상의 남자 축구선수 10명을 대상으로 단백질 섭취방법에 따른 3가지(유청 단백질, 콩단백질 섭취 또는 위약조건안 말토덱스트린 섭취)의 식이조건에 배정되었습니다.
- 실험참가자는 처음 7일 동안 단백질 섭취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하루 체중 1kg당 0.81g의 단백질을 섭취하게 했습니다.
- 8-14일까지는 일일 체중 1kg 당 1.5g.으로 섭취량을 늘렸습니다 .
15일과 17일에 모든 참가자는 60분의 강도높은 지구성 훈련에 참여케 했습니다.
- 측정변인은 GPS와 심박수 모니터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력과 최대 등척성근력, 스프린트 능력, 민첩성,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 지연성 근육통, 크레아틴 키나제, 클루타치온, 항산화능력 등을 분석했습니다.
- 선수들은 7일 간격의 휴식 후 다시 다른 조건에 반복참여하여 세 조건에 모두 참여했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등속성 근력은 트레이닝 24시간 후 감소했습니다.
- 최대 등척성 근력은 트레이닝 후 1시간(12-13%) 및 2시간(7-7.6%)에 비주측 무릎신근에서만 감소했습니다.
- 최고 스피드는 2차 트레이닝 세션에서 모든 그룹이 1차에 비해 느리게 나타났지만, 유청단백질과 콩단백질 섭취조건은 위약조건보다 각각 2.3%, 2.0%로 약간 느리게 느려졌습니다.
- 고강도 달리기는 두 세션 사이에 위약조건의 경우 11.2% 감소했지만 유청단백질 섭취조건 및 콩 단백질 섭취 조건 모두 7.7% 감소했습니다.
- 감속능력은 위약조건에서 5.8% 감소했지만 나머지 두 조건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 반복 스프린트 능력에 따른 피로 지수는 모든 조건에서 증가했고(위약: + 20%; 유청단백질: + 13%; 콩단백질: + 16%), 카운터 무브먼트 높이는 감소했습니다(위약조건: -7%; 유청단백질 섭취조건: -5%; SP: -5%).
- 지연성 근육통은 조건에 따른 차이없이 트레이닝 후 24시간 및 48시간에 모든 시점에서 약 3배 정도 증가했습니다.
- 크레아틴 키나아제는 시험 전 수준과 비교하여 첫 번째 속도 지구력 세션 후 24시간 후에 거의 2배 증가했으며 모든 그룹에서 회복 48시간까지 상승된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 총 항산화 능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카르보닐은 위약조건에 비해 훈련 48시간 후 콩단백질 조건에서 더 낮았으며 유청단백질 섭취조건에서도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 강도 높은 운동으로 인한 근손상 및 항산화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연속적인 스피드 지구력 훈련에 따른 운동수행능력 유지를 위한 권장 단백질 섭취량으로 일일 1.5g/kg이 제안될 수 있습니다.
- 채식선수는 단백질 섭취에 대한 신중한 계획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필수 아미노산인 류신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총 아미노산 프로파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분명히 회복에 중요하지만, 탄수화물 가용성과 함께 전체 식단의 에너지 균형도 고려해야 합니다.
- 이 연구는 콩 단백질의 단기적 섭취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연구한 많은 자료에서 근육량, 근력 유지에 여전히 많은 잇점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