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nn, M., Narozanick, T., Miltenberger, R., Greenberg, L., & Schenk, M. (2020). Evaluating video modeling and video modeling with video feedback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ompetitive dancers. Behavioral Interventions, 35(1), 76-83. https://psycnet.apa.org/doi/10.1002/bin.1691
Introduction
선수는 지도자들로 부터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받는다. 구두 피드백, 운동 수행 전 선행되는 지시나 지도, 비디오 피드백 그리고 비디오 모델링 등이 그 예이다.
비디오 피드백은 선수에게 운동수행장면을 녹화로 보여주고 올바른 수행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설명하는 방법이다. 비디오 모델링은 동작의 모델을 보여주고 유사하게 기술을 구사하도록 지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전 연구에서 비디오 모델링을 받은 집단이 비디오 피드백만 받은 집단보다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비디오 모델링의 단독제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지만 이와 관련한 연구는 많지 않고, 이 두 조건을 결합하여 제공할 경우 운동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댄스동작을 과제로 비디오 모델링의 단독효과를 알아보고, 비디오 모델링 만으로 수행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우 비디오 모델링과 비디오 피드백을 동시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했다.
Methods
실험 참가자는 9세-13세 사이의 4명의 여학생으로 매주 발레 수업에 참가했다. 최소 6개월의 댄스 수업경험이 있고 대회출전 목적으로 본인의 수행을 개선하는데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다.
운동수행 과제는 "brise"라는 발레동작으로 정확하게 구사한 29개 스텝 횟수를 비율로 환산했다. 모든 참가자는 4번의 모든 조건에서 동작을 수행하였다. 1) 전면 비디오 모델링 조건 2) 전면 비디오 모델링+피드백 조건 3) 후면 비디오 모델링 조건 4) 후면 비디오 모델링+피드백 조건순서로 제시
비디오 모델을 보고 수행을 비교하는 과정은 3회 반복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은 동작이 끝난 후 전문가 비디오와 본인의 비디오를 보여주어 칭찬 및 교정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Results
4명의 무용수는 비디오 모델링의 단독제공보다 비디오 모델링과 피드백이 같이 제공되었을 때 상당한 수행향상을 나타냈다.
일부 선수는 전면 비디오를 제공할 때 수행점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학생이 강사 뒤에서 학습하는 환경과 반대되는 환경으로, 반대쪽 팔과 다리가 사용되어 참가자에게 혼란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비디오 모델 방향은 기술습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일부 선수는 비디오 모델링 단계가 끝날 때 수행의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또한 비디오 모델링 단계에서 지루함도 표현했다. 이것은 이 단계에서 피드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ake fields message
운동 지도 시 비디오만 제공하는 것보다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 때 피드백은 선수가 잘 하고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고 자각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어야 한다.
비디오 모델링은 선수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비디오 모델의 방향, 순서 등도 고려해야 한다.
비디오를 활용한 피드백 결과는 선수와의 친밀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선수와 유대관계가 깊을수록 효과적인 수행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훈련에 적용한다면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영상 촬영과 시청이 보편화된 요즘 동영상 자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코칭에 활용할 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