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력향상에 효과가 있는 쿨 스트레이 Over, D. M., Arjomandkhah, N., Beaumont, J. D., Goodall, S., & Barwood, M. J. (2023) Skin application of menthol enhances maximal isometric lifting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7(3), 564–573.
|
|
|
Introduction
-
저항성 훈련 시 부하 또는(및) 운동량의 증가는 과도한 근 피로를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피로는 최대 근력 및 힘 발달 속도(rate of force development, RFD)를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저항에 대항하기 위한 근수축은 운동신경에 지배를 받게 되며 다양한 생리학적 기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
폭발적인 근력 발현을 위한 등척성 수축은 동적 수축과 달리 세포내 증가된 칼슘농도 및 근력을 유지하기 위한 근수축 정도에 따라 근력발현의 차이가 발생되며, 이런 특징들은 근섬유 유형 및 근육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위의 이론에 기초하여 동적 및 등척성 근수축 시 발생되는 피로 기전을 조절할 수 있다면 파워, 근력 또는 두 변인 모두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과도한 근육 온도 상승은 근력 약화의 원인이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주변(대기) 온도를 25~31도로 유지함으로써 피부 온도를 낮추면 운동신경 동원을 30%까지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
또한 일시적인 피부 냉각도 무릎 관절의 등척성 근수축 시 근신경 반응을 향상시켜 RFD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현재 시판중인 멘톨(menthol) 스프레이 또는 겔 제제는 농도 및 분사량에 따라 최대 25분까지 냉감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하지의 멘톨 스프레이 적용이 동적 및 등척성 근력 발현 시 근력, 근활성도 및 피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
|
|
Methods
-
실험은 9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나이: 24±5세, 신장: 174±10cm, 체중: 75.7±8.8kg)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발기준은 12개월 이상(주 3회)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이 있고 데드리프트 시 5RM은 132.3±28.5, 1RM은 149.6±32.3kg의 기록을 보유한 참가자로 제한하였다.
-
등척성 측정은 배근력 측정기(TKK-5002)를 이용하여 3회 반복 후 측정된 결과 값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모든 측정은 하지에 스프레이를 도포한 후 25분 이내로 완료하였으며, 대조군은 계면활성제(surfactants)와 물이 함유된 스프레이를, 실험군은 계면활성제, 물, 멘톨이 함유된 스프레이를 사용하였다.
-
실험은 1명당 2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에 모두 참여하였다. 동적 측정의 경우 근전도(대퇴직근, 대퇴이두근, 비복근) 변화를 관찰했고, 등척성 측정의 경우 근전도 및 근력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두 처치 모두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
|
|
Results
-
동적 측정의 경우 대조군에서 근활성도의 높은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솔 처치군에서는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29).
-
등척성 측정 결과 멘솔 처치군(148±30kgf)이 통제군(140±30kgf)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근력이 발현되었으며(p=.035), 근활성에서 멘톨 처치(3.8±1.46V)가 통제군(2.9±0.34V)에 비해 대퇴이두근의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49).
-
피부 표면 온도의 경우 처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
본 연구에서 참가자 9명 중 6명이 멘톨 스프레이 처치를 인지하였으며, 2명은 대조군 처치가 멘톨 처치인 것으로 오인하였다. 나머지 1명의 경우 두 가지 처치를 식별하지 못하였다.
멘톨 스프레이를 식별한 참가자의 경우 처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적용 후 부정적인 답변도 있어 처치에 따른 참가자의 선호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
|
Take fields message
- 시합 및 훈련 중 과도하게 상승된 근육 온도는 생리학적 측면에서 근력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피부 온도를 일시적으로 낮춘다면 근력 및 근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아이스팩 또는 냉침수 요법은 근육 온도를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활동 중 적용에 어려움이 있기에 멘톨 스프레이의 적용이 시합 및 훈련 중 근육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또한, 멘톨 스프레이의 효과와 같이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면 선수 체력 측정 시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추가적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멘톨 스프레이의 적용에 따른 효과 지속시간을 25분 이내로 한정하였기에 실제 조건에 따라 적용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고, 처치에 따른 참가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고려한 맞춤형 적용이 필요하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시판되는 쿨 스프레이로 부상관리외에 근력향상을 위해서도 적용해볼 수 있겠네요.
그럼 다음 주에도 유익한 정보로 또 찾아뵐게요!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