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rofsky, J., Berk, L., Bains, G., Khowailed, I. A., Lee, H., & Laymon, M. (2017). The Efficacy of Sustained Heat Treatment 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Canadian Academy of Sport Medicine, 27(4), 329–337. https://doi.org/10.1097/JSM.0000000000000375
Introduction
지연성 근육통은(DOMS)운동 참가자에게 흔한 증상이며 그 정도는 대상과 운동 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DOMS를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방법이 시도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냉치료이다.
하지만 최근 열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지속적이며 낮은 온도의 열치료는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DOMS에 대한 운동 직후 적용된 온찜질의 영향을 분석했다.
Methods
연구대상은 20~40세의 건강한 성인 60명을 5분간의 스쿼트 운동으로 근육통을 유발시키고 대조군, 운동 직후 8시간 온찜질군, 운동 24시간 후 8시간 동안 온찜질 적용군으로 구분하여 VAS, 대퇴사두근 근력 , 가동범위, 경직도, 대퇴사두근 통증과 혈액 미오글로빈을 분석했다.
온찜질은 ThermaCare(동영상 참조)를 근육통 유발부위에 정해진 시간동안 부착했다.
Results
분석결과 근력은 운동 하루 뒤 모든 집단에서 감소되었으나 온찜질을 적용한 집단이 가장 적은 폭으로 감소했다. 모든 시점에서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통증척도는 비교군에 비해 온찜질 집단에서 운동 후 1, 2일째 유의하게 낮았으나 3일째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졌다.
무릎 굴곡 시 통증 각도는 운동 후 첫 날 온치료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증없이 무릎을 더 많이 구부릴 수 있었다.
미오글로빈 농도는 운동 직 후 온찜질을 적용한 집단에서 가장 변화가 적었다.
Take fields message
지금까지 알려진 상식은 운동 직후 냉찜질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냉찜질은 붓기와 조직손상을 줄여준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근육손상을 감소시키는데는 냉찜질이 효과가 없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온치료의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온찜질이 근육통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착형 온찜질 팩을 적용하여 체에 적용된 정확한 온도를 확인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