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농구선수의 손목관절 안정성과 운동기능 Yuine, H., Mutsuzaki, H., Yoshii, Y., Shimizu, Y., Ishida, N., Yasuda, T., Iwai, K., Hotta, K., Shiraishi, H., & Tachibana, K. (2023). Evaluation of hand functions and distal radioulnar joint instability in elite wheelchair basketball athletes: a cross-sectional pilot study. BMC sports science, medicine & rehabilitation, 15(1), 58. https://doi.org/10.1186/s13102-023-00658-8 |
|
|
Introduction
-
휠체어농구 선수는 반복적인 던지기와 휠체어를 사용한 역동적인 가속 및 감속 그리고 넘어질 때 손으로 바닥을 짚는 것과 같은 상황들에 의해 상지와 관련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지난 연구에 따르면 지역 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휠체어농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54.5%가 지난 1년 동안 손목 부상이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Jennifer 외, 2018)
-
이러한 부상은 휠체어농구 선수의 경기력뿐만이 아닌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부상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또한 DRUJ(distal radioulnar joint)의 불안정성은 TFCC(triangle fibrocarilage complex) 손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여성 휠체어농구 선수를 대상으로 DRUJ의 불안정성과 손목 기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
|
Methods
-
9명(18개의 손목)의 여자 엘리트 휠체어농구 선수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MRI를 통해 TFCC 손상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
Ballottement test(아래 동영상 참조; 요골을 고정한 후 척골두를 수직으로 압박하여 전위)를 통해 DRUJ의 불안정성과 통증을 평가하였다.
-
압박 장치로 척골두를 압박시킨 후 초음파를 통해 전위된 거리를 측정하여 전위/힘(mm/N) 비율 값을 계산하였다.
-
손목 및 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악력, 손목 가동범위(굴곡, 신전, 척측편위, 요측편위), 상완 및 전완 둘레를 측정하였다.
-
Quick DASH 설문 평가를 통해 일상 생활 및 작업, 스포츠 활동 중 경험한 어려움이나 통증을 평가하였다.
|
|
|
Results
-
TFCC 손상이 있는 손목에서 척측편위 가동범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2). 하지만 척골두의 전위/힘 비율과 악력, 상완 둘레, 전완 둘레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TFCC 손상이 없는 손목에서 척골두의 전위/힘 비율과 악력, 상완 둘레, 전완 둘레 간의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손상이 없는 손목에서 악력, 상완 둘레, 전완 둘레가 클수록 DRUJ 안정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
악력과 상완 둘레 및 전완 둘레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것이 휠체어농구 선수의 TFCC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
|
|
Take fields message
-
TFCC 부상이 있는 손목에서 나타난 척측편위 가동범위의 제한은 부상 후 휴식과 보호대를 이용한 결과일 수 있으며 또는 통증으로 인한 회피 반응의 결과일 수 있다.
-
손목 기능의 향상을 위해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ROM을 회복시켜줄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지난 연구에 따르면 DRUJ 불안정성은 TFCC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모든 TFCC 손상이 DRUJ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
때문에 척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ulnaris) 및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과 같은 동적 안정자에 초점을 맞춘 강화 운동은 DRUJ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TFCC 부상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그럼 다음 주에도 유익한 정보로 또 찾아뵐게요!
원고제공: 양정훈 트레이너(장애인 국가대표 조정팀)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