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orbani, S., & Bund, A. (2020). Motivational Effects of Enhanced Expectancies for Motor Learning in Individuals With High and Low Self-Efficac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27(1), 263–274. https://doi.org/10.1177/0031512519892390
Introduction
자기효능감은 어떤 문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이다.
최근 연구에서 긍정적인 수행에 대한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다가올 수행에 대한 기대감을 향상시키고 운동수행 및 학습효과를 용이하게 한다고 나타났다.
학습자의 다가올 수행에 대한 기대감을 강화시키기 위해선 동기요인의 작용이 필요하며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성공하거나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정의되는데, 좀 더 쉽게 말하면 어떤 문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이다.
일부 연구에서 학습자에게 좋은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안 좋은 수행에 대한 결과지식을 제공하는 것 보다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전의 연구에서는 개인의 동기상태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운동학습 효과 사이의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선 먼저 개인의 동기수준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결과지식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공던지기 과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Methods
남자 학부생들 251명을 대상으로하여 자기효능감 설문지를 통해 낮은 자기효능감 집단 30명, 높은 자기효능감 집단 30명을 선정하였다.
이후 긍정적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집단과 부정적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1)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피드백 집단, (2)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피드백, (3)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피드백집단, (4)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부정적 피드백집단으로 나누었다.
던지기 정확성으로 살펴보면 파지검사에서 부정적피드백을 받은 두 집단보다 긍정적피드백을 받은 두 집단이 더 높은 정확성을 나타냈으며 전이검사에서는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 피드백집단이 가장 높은 정확성을 나타냈다.
이는 자기효능감 검사와 함께 비교해보면 흥미로운 결과이다.
자기효능감 검사결과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피드백 집단은 학습 후반으로 갈수록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긍정적피드백 집단의 학습자와 유사한 자기효능감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긍정적피드백을 받은 두 집단은 부정적피드백을 받은 두 집단보다 파지, 전이검사에서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고,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어도 부정적 피드백을 받았을 경우 자기효능감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효과적인 수행을 하기 위해선 자기효능감이 중요하며 이는 긍정적피드백을 통해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과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 모두에게 효과적이라는 이론(OPTIMAL)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긍정적인 결과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의 동기수준을 올릴 수 있고 이는 효과적인 운동수행을 유도한다고 볼 수 있다.
Take fields message
정리해보자면, 본 연구는 선수의 동기가 효율적인 운동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기는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는다는 OPTIMAL 이론을 기반으로 결과지식의 형태(긍정적피드백, 부정적피드백)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는 학습자의 운동수행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실질적 의미로서 첫 번째는 초기에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학습자의 경우 지속적으로 높은 자기효능감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운동초기부터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선수일지라도 긍정적피드백을 받은 경우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선수와 유사한 수준으로 자기효능감이 올라가며 효과적으로 공던지기 과제를 학습했다는 것이다. 이는 잘한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선수의 동기 수준을 올려 효과적인 수행을 유도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운동초기 자신감이 결여된 초보자에게 수행에 대한 긍정적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며 엘리트 선수에게도 지속적으로 긍정적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높은 자기효능감을 유지시키고 효과적인 운동수행을 유도할 것이다.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이번 연구는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김정원 연구원님께서 제공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