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단식이 지구성 운동선수에게 어떤 영향을?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Introduction
-
운동선수와 현장의 전문가들(트레이너, 코치, 감독 등)은 훈련 효과를 극대화 하거나, 빠른 회복을 통해 경기에서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를 위한, 여러 방법 중 영양학적 접근 방법은 지난 10년 동안 훈련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
간헐적 단식은(IF Intermittent fasting)은 음식의 제한없이 제한된 시간내에 자유롭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신체구성과, 심장질환 대사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어 최근 유행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
간헐적 단식은(IF, Intermittent fasting)에는 격일단식(ADF Alternater day fasting), 시간제한 먹기(TRE, Time-restriced eating) 등 여러 방식이 있는데, 시간제한 먹기(TRE)는 24시간 중 16:8 즉, 16시간 단식과 8시간 식사로 구성한다.
-
최근 시간제한 먹기(TRE) 방식의 연구들은 체성분 변화 방식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고 몇몇 연구에서 근력 향상과의 관계를 보았지만, 특별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는 알려지지 않았다.
-
또한, 유산소 능력 향상과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쥐를 이용한 연구였으며,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유산소 능력 향상 및 신체조성 변화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지만 시간제한 먹기방식이 인간의 유산소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는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
이번연구의 목적은 시간제한 먹기 방식이 장거리 달리기 선수의 체성분 및 운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
|
|
Methods
-
28명의 훈련된 남자(중년) 장거리 선수(연령, 36.4 ± 7.4세)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8주 동안 시간제한 식사 적용(TRE) 그룹과 통제그룹(CON)으로 나누어 운동능력, 신체구성, 건강지표 등을 비교 하였다.
-
신체구성은 키, 몸무게, 근육량, 등 5개 항목을 운동능력은 VO2peak 외 7개 항목, 건강지표는 글루코스 외 3가지 항목을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
연구 참가자들은 평소 식사섭취량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운동량 또한 변화 없이 진행하도록 하였다.
-
식사 섭취량은 식사일기를 통해 기록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스마트 워치를 통해 훈련량 을 기록하고 8주 동안 28번의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
|
Results & Conclusions
-
최소한의 훈련 프로그램 횟수(28회)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부상자등을 제외한 17명의 참가자를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TRE, n = 10; CON, n = 7).
-
두 그룹 간 훈련 량 및 식사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
두 그룹 간 체질량은 TRE그룹에서 CON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다(mean difference of -1.92 kg, 95% confidence interval = -3.52 to -0.32, P = 0.022).
-
기타 유산소 능력(V˙O2peak, HR 등) 건강관련 지표(Glucose, Insulin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
|
Take field message
-
현재 간헐적 단식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시간제한 식사요법과 운동수행 능력과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부족하다.
-
위 연구를 통해 시간제한 식사요법이 신체구성 변화에 효과가 있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체중감량이 필요한 선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하지만 몇 편의 연구로 간헐적 단식의 효과를 단정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결과를 반영한 현장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
|
|
|
✏️ 원고제공: 대한장애인체육회 안영환 연구사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