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테니스 선수의 비주측 고관절 내회전 가동범위와 요통
Tanabe, T., Watabu, T., Miaki, H., Kubo, N., Inaoka Pleiades, T., Sugano, T., & Mizuno, K. (2022). Association Between Nondominant Leg-Side Hip Internal Rotation Restriction and Low Back Pain in Male Elite High School Soft Tennis Player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32(2), 158–164. https://doi.org/10.1123/jsr.2022-0114
Introduction
테니스, 골프, 야구 및 기타 여러 종목의 스포츠에서는 신체 회전을 통해 강력한 스윙을 만들어 낸다.
스윙을 위해 몸통, 골반, 무릎, 어깨, 팔꿈치 심지어 손, 발까지도 회전 운동에 관여한다.
때문에 어떤 특정 부위의 기능부전은 다른 신체 부위의 보상적인 움직임을 요구하게 되고 이는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테니스 스트로크 동작 중 비주측 고관절(즉, 라켓을 사용하는 팔의 반대편 고관절) 내회전 동작은 하지에서 상지로 에너지를 전달하고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약 비주측 고관절 내회전이 제한되어 있다면 이는 허리 부위에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부상을 야기할 수 있지만 소프트 테니스 선수의 비주측 고관절 내회전 가동범위와 허리통증 사이의 관련성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는 소프트 테니스 선수의 고관절 유연성과 허리 통증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Methods
소프트 테니스 고등부 남자 선수 중 허리통증으로 2년 이내 2주 이상 지속적으로 경험한 적 35명과 허리통증이 없는 78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변인으로 고관절 내회전 및 외회전 가동범위 그리고 햄스트링과 장요근 유연성을 검사했다.
고관절 내회전 및 외회전 가동범위 : 엎드린 자세로 누워 한쪽 무릎을 90° 굴곡 시킨 후 고관절을 내회전과 외회전시켜 각도를 측정
햄스트링 유연성 : SLR test
장요근 유연성 : Thomas test
측정 전 모든 참가자는 5분 간 조깅하고 10분 간 하지 정적 스트레칭을 수행했다.
모든 검사는 고니오미터로 측정하였으며 검사자가 직접 관절을 움직여 검사하는 수동적 검사로 진행되었다.
Results & Conclusions
허리통증이 있는 그룹이 허리통증이 없는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비주측 고관절의 내회전 가동범위가 제한되어 있었다.
선수의 키가 클수록 허리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비주측 고관절의 외회전 가동범위, 주측 고관절의 내·외회전 가동범위, 햄스트링과 장요근 유연성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나이, 몸무게, 선수 경력, 훈련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결과 비주측 고관절 내회전 가동범위가 1° 감소할 때마다 허리통증 발생률이 1.1배 더 높았고, 키가 1cm 증가할 때마다 허리통증의 발생률이 1.08배 더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ake field message
많은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포츠 선수의 허리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고관절 내회전 가동범위 검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관절 내회전 제한은 허리 외 무릎 등 다른 신체 부위 부상 인자로서 연구가 필요하다.
고관절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다면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웜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허리를 비롯한 기타 다른 부위의 부상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가동범위를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향상된 가동범위 안에서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움직임을 만들어 내고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원고제공: 장애인 국가대표 조정팀 양정훈 트레이너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