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연장시간에 선수의 체력저하는 당연하다. 이에 대한 대비는? 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
|
|
축구 연장시간, 선수 경기력의 변화
Mohr, M., Ermidis, G., Jamurtas, A. Z., Vigh-Larsen, J. F., Poulios, A., Draganidis, D., Papanikolaou, K., Tsimeas, P., Batsilas, D., Loules, G., Batrakoulis, A., Sovatzidis, A., Nielsen, J. L., Tzatzakis, T., Deli, C. K., Nybo, L., Krustrup, P., & Fatouros, I. G. (2023). Extended Match Time Exacerbates Fatigue and Impacts Physiological Responses in Male Soccer Playe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55(1), 80–92. https://doi.org/10.1249/MSS.0000000000003021
|
|
|
Methods
-
측정은 직전, 플레이 90분, 120분 후 실시.
-
평균 연령 20세의 엘리트 선수 20명을 대상으로 GPS 장치를 이용하여 경기 중 활동 패턴, 심박수, 점프 능력, 반복 스프린트 능력을 측정했다.
|
|
|
Results & Conclusions
-
고강도 달리기는 추가시간에 약 12% 감소
-
최고 전력질주 속도는 연장전에서 11% 감속
-
반복 전력질주 능력 감소
-
점프 능력 저하
-
근생검을 통해 측정한 근육 글리코겐은 373 ± 59mmol·kg -1 에서 90분 후 266 ± 64mmol·kg -1 로 감소, 120분 후186 ± 56mmol·kg -1로 추가 감소
-
혈당은 처음 90분 동안 변화하지 않았지만 추가 시간 후에 81 ± 8 mg·dL -1 로 감소
-
혈장 글리세롤, 암모니아, 젖산은 90분, 120분 후 증가
|
|
|
Take field message
-
이는 근글리코겐 고갈, 혈당 수치 감소 및 고암모니아혈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저자들은 언급했다.
-
축구 지도자와 트레이너는 추가 시간에 대비한 훈련 시나리오, 회복전략 및 선수 교체 전략이 필요하다.
|
|
|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