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선수의 수분섭취 상태 확인
Wardenaar, F. C., Seltzer, R. G., & Kavouras, S. A. (2022). Accuracy and reliability of college athletes’ scoring of artificial urine color samples to determine hydration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 Coaching, 0(0). https://doi.org/10.1177/17479541221114748
Introduction
수분섭취가 충분치 않으면 건강상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고 운동수행능력도 저하된다.
개인의 수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은 소변 삼투압 또는 비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소변색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운동하는 선수들의 수화상태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어 많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선수의 소변색을 소변색상차트와 비교하여 수화상태를 손쉽게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조명, 밝기, 소변수집 용기, 영양섭취상태 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운동선수는 정기적으로 소변 분석을 통해 수분 상태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일관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소변색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Methods
35명의 학생 운동 선수가 2018년 3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미국 애리조나 주 템피에서 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들은 19명의 여성 라크로스 선수, 11명의 여성 트라이애슬론 선수, 5명의 남성 대학 축구 선수로 구성되었다.
8색 소변 색상 차트의 4~7번째 색조와 일치하도록 인공 소변샘플을 개발했다. 선수들은 이틀에 걸쳐 두 개의 인공 소변 샘플을 8색 소변색상 차트에 해당하는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Results & Conclusions
전체 그룹으로 통계분석한 결과 두 번의 실험간에 유사하게 샘플을 평가했지만, 개인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첫날 평가와 두번째 날의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전체 샘플의 21.6%의 점수가 소변색상 차트와 정확하게 일치했고, 인공 샘플의 평균 참가자 점수는 색상 차트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실제 색상보다 한 단계 더 밝은 소변 샘플을 보고할 가능성이 2.6배 정도 높았다.
결론적으로, 선수들은 인공 소변 색상 샘플의 색상이 날짜 사이에 일관되지 않게 점수를 매겼다.
또한, 선수가 실제 색상보다 한 단계 더 밝은 소변 샘플을 보고할 확률은 2.6배 높았다. 이는 선수가 수화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소변 색깔은 정확하고 일관성있게 평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