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at Science & Medicine for Athletes by 월간스포츠의과학
회전종목(체조, 피겨 스케이팅, 발레)과 비회전 종목 시각 및 전정기관 신호처리 능력 비교
F.Zsarnoczky-Dulhazia, et al. (2021). Effect of sports background on the visual and vestibular signal processing abilities of athletes. Science & Sports, https://doi.org/10.1016/j.scispo.2021.12.005
Introduction
균형을 유지하고 자세를 조절하는 것은 인체 움직임의 필수요소로 인체의 여러 시스템의 협력으로 가능하다. 시각 및 전정기관, 고유수용성감각은 중요한 기관으로 역할을 담당한다.
시각 시스템은 눈을 통해 시각적 피드백을 받아 환경 및 신체의 현재 위치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정 시스템은 귀 안쪽에 위치한 전정기관으로 부터 수용된 자극이 머리의 가속과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고유수용성감각은 신체의 관절 및 근육에 위치한 고유수용체를 통해 전달된 자극이 근력, 길이 그리고 관절 움직임에 대한 속도 정보에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많은 스포츠 활동에서 높은 수준의 균형 능력은 성공적인 퍼포먼스를 위해 매우 중요한 측면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수의 균형 능력에 있어 스포츠 배경이 시각 및 전정기관 신호 처리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Methods
회전 종목(몸통과 머리의 회전이 많이 일어나는 종목 - 체조, 피겨, 발레리나)의 선수들과 비회전 종목(회전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 종목 - 배구, 조정, 달리기)의 선수들의 균형 능력을 비교하였다.
균형감각 측정 1. 먼저 가만히 서 있는 동안 눈을 뜬 상태와 눈을 감은 상태에서 20초 동안 서 있게 한 후 ① 눈을 뜬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 ② 눈을 감은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
2. 의자에 앉혀서 10회 회전 시킨 후 눈을 뜬 상태와 눈을 감은 상태에서 20초 동안 기립하여 균형조절(회전 속도는 메트로놈으로 조절). ① 10회 회전 후 눈을 뜬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 ② 10회 회전 후 서서 눈을 감은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
MatScan Platform을 이용하여 발을 모으고 서서 균형을 잡는 동안 몸이 앞, 뒤, 좌, 우로 동요한 거리와 신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어진 거리과 움직인 면적을 측정.
Conclusions
눈을 감은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 검사 결과 회전 종목 선수들이 비회전 종목의 선수들 보다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움직였다.
시각적 피드백이 차단(눈 감기)되었을 때 회전 종목 선수들의 균형 능력이 더욱 손실되었다.
10회 회전 후 서서 눈을 감은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에서 회전 종목의 선수들이 비회전 종목의 선수들 보다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움직였다.
전정계를 교란(10회 회전)시키고 시각적 피드백이 차단(눈 감기)되었을 때 회전 종목 선수들의 균형 능력이 더욱 손실되었다.
10회 회전 후 눈을 뜬 상태로 20초 동안 서 있기에서 비회전 종목의 선수들이 회전 종목의 선수들 보다 무게 중심으로부터 더 넓은 면적으로 움직였으며 또한 앞, 뒤, 좌, 우로의 움직임이 더 많은 움직임이 있었다.
전정계를 교란(10회 회전)시켰을 때 비회전 종목 선수들의 균형 능력이 더욱 손실되었습니다.
이외 다른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시각적 피드백이 있을 때 전정계의 교란이 회전 종목 선수들의 균형 능력에 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시각적 피드백의 차단은 회전 종목의 선수들에게 더 큰 균형 능력의 손실을 초래했다.
따라서 회전 종목 선수들이 시각적 피드백의 차단에 더욱 민감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전정감각보다는 시각적 입력에 더 많이 의존한다고 결론지었다.
비회전 종목 선수들이 시각적 피드백보다는 상대적으로 전정 피드백에 의존적이었다.
Take field message
회전 스포츠 종목 선수들의 균형 능력에 있어서 시각적 피드백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시각 시스템에 특화된 트레이닝을 통해 균형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전정 시스템 특화 트레이닝을 통해 균형 능력의 향상을 기대를 할 수 있다.
시력이 나쁜 선수들은 시력 교정을 통해 균형 능력의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다.
어두운 환경에서 수행된 균형 능력을 요구하는 활동에서 일시적으로 균형 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 월간스포츠의과학 해외저널 스터디 양정훈(장애인 국가대표 조정팀 트레이너) 선생님의 자료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월간 스포츠의과학 publisher@sportsmonthly.co.kr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1050563896 수신거부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