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 M., Stien, N., Saeterbakken, A. H., & Andersen, V. (2021). The effects of assisted and resisted plyometric training on jump height and sprint performance among physically active females. /Europ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8.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80/17461391.2021.1968503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대개 순간적인 수직점프 및 수평 이동 동작을 포함합니다.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근활동의 변화, 근수축 속도와 같은 기계적 요소와 신경학적 요인을 통해 스프린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보조장치로 트레이닝 부하를 조절하는 플라이오 메트릭 훈련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현수장치를 통해 체중부하를 줄이는 보조 플라이오메트릭(assisted)과 부하를 높인 저항 플라이오메트릭(registed) 이 있습니다.
보조 플라이오메트릭의 아이디어는 줄어든 체중으로 더 빠른 근수축과 운동 속도를 유도하는 반면 저항 플라이오메트릭은 부과된 저항으로 더 높은 근력이 필요하지만 운동속도는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조 플라이오메트릭은 높은 속도의 움직임에서 더 큰 퍼포먼스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저항 플라이오메트릭은 주로 저속 움직임에서 증가된 근력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의 점프 높이, 스프린트 기록, 최고속도, 가속능력 등 단거리 전력질주 등의 검사를 통해 보조 및 저항 플라이오메트릭 점프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습니다.
평균나이 21.1세의 활동적인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보조 플라이오메트릭(AP; Assited Plyometric), 저항 플라이오메트릭(RP; Resisted Ppyometric) 트레이닝 또는 체중을 이용한 대조군에 무작위 할당했습니다.
보조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클라이밍용 안전벨트를 천정에 설치하고 몸을 매달아 체중부하를 줄였습니다.
저항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지면에 고정 설치된 탄성밴드에 신체를 고정시켜 트레이닝 시 저항을 증가시켰습니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두 트레이닝이 동일하게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 불가리안 스플릿 점프 및 브로드 점프 등 다양한 점프 동작으로 구성된 훈련을 8주간 지속했습니다.
트레이닝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전후 카운터 무브먼트 점프와 40m 스프린트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분석결과 저항 플라이오메트릭은 대조군에 비해 점프 높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조 플라이오메트릭 집단에 비해스프린트 최대 스피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저항 훈련 그룹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점프 높이와 최대 스피드가 개선되었습니다. 대조군은 최대 속도를 개선했습니다. 세 그룹 모두 트레이닝 후 40m 스프린트 시간이 개선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트레이닝 모두 점프와 스프린트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저항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최대 속도 향상을 위한 보조 플라이오메트릭 훈련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점프 높이 증가에도 체중만을 이용한 트레이닝보다 더욱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힘이 부족한 선수는 저항 플라이오메트릭이 잠재적으로 더 큰 개선을 볼 수 있는 반면 스피드 향상을 위해서는 보조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잘 설계된 근력 훈련 루틴을 통해 점프와 스프린트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