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선수의 요통 원인 Yamashita, M., Ishida, T., Osuka, S., Watanabe, K., Samukawa, M., Kasahara, S., Kondo, E., & Tohyama, H. (2023). Trunk Muscle Activities during Ergometer Rowing in Rower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22(2), 338–344. https://doi.org/10.52082/jssm.2023.338 |
|
|
Main Results
- 22명의 대학 조정 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10명은 요통이 있었다.
- 요통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모든 참가자는 로잉머신 테스트 전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DQ) 설문을 완료했다.
- Visual Analog Scale (VAS)을 사용하여 로잉머신 테스트 후 나타나는 요통을 30분 동안 평가하였다.
- 근전도를 사용하여 척추기립근(thoracic erectorspinae, TES), 척추기립근(lumbar erector spinae, LES), 광배근(latissimus dorsi, LD), 복직근(rectus abdominis, RA),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EO)의 근 활성도도 측정했다.
-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의 운동학적 분석을 위해 척추 분절, 골반, 고관절, 무릎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였다.
|
|
|
Conclusions
- 요통 그룹의 척추기립근, 척추기립근, 광배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활성도는 차이가 없었다.
- 요통 그룹에서 요추 3번의 움직임 범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EMG 결과와 관련성이 있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었다.
- 대조군과 비교하여 LBP 그룹이 ODI, RDQ, VAS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근 활성도의 차이가 선수들의 기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척주기립근과 광배근의 과활성이 조정 선수의 요통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요통을 또 다른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연구입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국가대표 장애인 조정팀 양정훈 선생님께서 작성하셨습니다.
유익한 정보로 또 찾아뵐게요!
|
|
|
근거기반 스포츠의과학 매거진 [선수]admin@athletes.co.kr대한민국 서울특별시 8262155321수신거부 Unsubscribe |
|
|
|
|